아하
검색 이미지
양육·훈육 이미지
양육·훈육육아
양육·훈육 이미지
양육·훈육육아
구월동웅사장
구월동웅사장23.03.27

이제 두돌 지난 아기를 키우고 있는데 가끔 소리를 지르고 때를 쓰네요 이럴때는 어떻게 하는것이 좋을까요?

아기가 자기가 원하는 것을 들어주지 않으면 소리를 지르거나 때를 쓰는 경우가 종종 보이고 있습니다! 이럴때 아기가 원하는 것을 들어줘야 할지? 아니면 훈육을 해야 할지 알려주세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8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이은별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두돌때는 훈육을 하기가 어려울수있기에

    단순히 안된다는 정도만 알려주는것이 좋으며

    지속적으로 아이가 소리를 지를때는 다독이면서 안정시켜주는것이 좋겠습니다.


  • 안녕하세요. 배유리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아이가 소리를 지르고 때를 쓰는 것에 대해 너무 놀라거나 화를 내지 마세요.

    대신, 침착하게 상황을 살펴보고 아이에게 말씀해주세요.

    아이의 감정을 이해하고 동조해주는 것이 좋습니다.

    부모님들은 아이가 어떤 행동을 할 때마다 일관성 있게 대처해야 합니다.

    일관성 있게 행동하면 아이가 무엇이 올바른 행동인지 학습할 수 있습니다.

    훈육이라는게 꼭 혼낸다고 생각하시지 마시고 올바른행동을 할수있게 도와준다고 생각하시면 쉽습니다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23.03.27

    안녕하세요. 이복음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아이가 떼를 쓸 때 원하는 것을 들어준다면 떼를 쓰는 강도가 점점 심해질 우려가 있습니다.

    아이가 소리를 지르고 떼를 쓸 때는 바르게 이야기해볼 수 있도록 격려하고 그렇게 했을 때 이야기를 들어주며 행동을 수정해주는 것이 좋습니다.


  • 안녕하세요. 천지연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세 살 버릇 여든 까지 간다 라는 속담이 있습니다.

    지금 이 시기에 아이에 안 좋은 행동은 바로 잡아주는 것이 좋습니다.

    두 돌이면 말귀는 알아먹으니 아이가 소리를 지르면 단호하게 “안돼, 소리를 지는 것은 아니야” 라고 말하여 주세요.

    눈빛으로 말하여 주셔도 됩니다.

    아이는 자신의 행동이 해도 되는 것인지, 하면 안되는 것인지를 판단하는 능력이 미숙하기 때문에 아이의 행동이 개선될 때까지 계속 반복적으로 말하여 주셔야 합니다.

    훈육은 일관성 있게 해주셔야 됩니다.


  • 안녕하세요. 조현배 육아·아동 전문가입니다.

    혼내거나 화내기보다는 무관심으로 대응하는것이 효과적일 수 있습니다.

    한번 울거나 떼써서 원하는 것을 얻은 아이들은 이후에도 같은 전략을 사용하게 됩니다.

    타인에게 피해를 주지 않도록 공간을 분리하고 진정될 때 까지 지켜봐주세요.

    아이 마음에 공감해주면서 위로해주시고 말로 표현하도록 유도해주는 것이 좋습니다.

    우연히라도 같은 상황에 말이나 행동으로 표현한다면 꼭 칭찬과 보상 아낌없이 해주시면

    이후에도 이어질 가능성이 높아집니다.


  • 안녕하세요. 심은채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아직은 언어가 미숙하기 때문에 자신이 원하는 게 있으면 소리를 지르거나, 떼를 쓰기도 할 것입니다.

    하지만, 떼를 쓸 때마다 다 들어준다면 아이는 원하는 게 있을 때마다 더 큰 떼를 쓰게 되므로,

    어느정도 조절을 해주셔야 합니다.


  • 안녕하세요. 육아·아동 전문가입니다.

    아직 훈육의 개념을 모르기 때문에 반복적으로 이야기 해 주시고 알려주셔야 할 것 같습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권미정 육아·아동 전문가입니다.

    아이가 소리를 지르고 때를 쓰는 것은 그들이 자신의 감정을 표현하는 방법 중 하나입니다. 이것은 그들이 아직 감정을 조절하는 법을 배우지 못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이런 상황에서는 다음과 같은 조치를 취할 수 있습니다.

    1. 아이의 감정을 이해하려 노력하기 - 아이가 무엇 때문에 화나거나 우는지 이해하려고 노력해보세요. 그리고 아이가 말하길 기다리며 그들의 감정을 존중해주세요.

    2. 아이의 감정을 적극적으로 수용하기 - 아이가 말하려고 할 때 말을 끊지 말고, 그들이 얘기할 수 있도록 시간과 공간을 제공하세요.

    3. 아이와 대화하기 - 아이와 대화하면서 그들의 감정을 이해하고, 그들이 원하는 것을 이해하려고 노력하세요. 이러한 대화는 아이가 감정을 조절하는 법을 배우는 데 큰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4. 아이에게 긍정적인 피드백을 주기 - 아이가 잘한 점이나 칭찬할 만한 점이 있다면 그들에게 이를 알려주세요. 이를 통해 아이는 자신의 능력을 인정받고 자신감을 갖게 될 수 있습니다.

    5. 아이에게 적절한 규칙과 한계를 제시하기 - 아이에게 어떤 행동이 적절하고 어떤 것이 불쾌한 행동인지 알려주세요. 그리고 그들이 허용된 행동의 한계를 알려주면서 그것을 지키도록 유도하세요.

    이러한 방법들을 시도해보면서 아이가 자신의 감정을 조절하는 방법을 배우도록 도와주세요. 단, 심한 태도나 행동은 교정이 필요할 수 있으므로 상황에 따라 적절한 훈육이 필요할 수도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