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학문

환경·에너지

생각하며돌아가는무언가
생각하며돌아가는무언가

도시의 인공 공원을 설치하는 녹화 프로젝트가 실제로 미세먼지나 공기질의 대응에 효과적인가요?

최근에 도시 건설 설계를 보면 인공 숲이나 옥상 정원 같은 녹화 프로젝트가 꼭 포함되어 있는데요. 이것이 실질적으로 탄소 중립에 기여할 수 있는지에 대한 궁금증이 있어요. 단순히 미관상의 이유가 아니라 도시 열섬 현상의 완화라던지, 탄소 흡수 효과라던지, 공기질의 정화라던지 등의 환경적인 측면에서 얼마나 효과적인지 알고 싶네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2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황성원 전문가입니다.

    녹화 프로젝트, 즉 나무를 심거나 식물을 기르는 등의 환경 개선 프로젝트가 미세먼지나 공기질 개선에 일정 부분 효과가

    있다는 연구 결과들이 있습니다. 하지만 그 효과는 여러 요인에 따라 달라지며 특정 지역이나 조건에 따라 다르게 나타날

    수 있습니다.

    그리고 녹화 프로젝트가 이루어지는 지역의 크기나 식물의 수에 따라 효과가 다를 수 있습니다. 대규모 도시에서는 녹화

    프로젝트가 미세먼지 농도를 크게 줄이는 데 한계가 있을 수 있습니다.

    또한 나무나 식물들이 미세먼지를 흡수하는 데 시간이 필요할 수 있기 때문에 일시적인 해결책보다는 장기적인 관리가

    필요합니다.

    따라서 녹화 프로젝트가 공기질 개선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지만 미세먼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다양한

    정책과 함께 종합적인 접근이 필요합니다.

    1명 평가
  • 안녕하세요. 조일현 전문가입니다.

    도시의 인공 공원과 녹화 프로젝트는 미세먼지 저감과 공기질 개선에 일정 부분 기여하지만,

    그 효과는 제한적입니다. 환경부와 한국환경산업기술원의 보고서에 따르면, 도시 내 공원의 미세먼지 흡수율은

    0.29%에 불과하며, 이산화질소 흡수율은 0.02%에 그쳤습니다.

    최근에는 친환경 녹화 재자 개발을 통해 녹화 프로젝트의 환경 영향을 더욱 개선하려는 노력이 이루어지고 있습니다.

    예를 들어 플라스틱 사용을 최소화하고 생분해 가능한 소재를 사용하여 환경 부담을 줄이는 기술이 개발되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