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역사 이미지
역사학문
역사 이미지
역사학문
망고마더77
망고마더7724.01.16

우리나라에 거문고를 연주하기 시작한 유래 및 역사에 대해서 궁금해요

문득 궁금해 지는데 우리나라 전통 악기인 거문고는 언제 부터 우리나라에서 연주하기 시작했고 유래는 어덯게 되는지 거문고의 역사에 대해서 알려주세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3개의 답변이 있어요!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24.01.16

    안녕하세요. 임지애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거문고의 역사는 다음과 같습니다.

    현금은 고구려에서 발생한 6줄로 된 현악기이며 거문고라고도 부릅니다. 신라 통일 후 삼현삼죽(三絃三竹)의 하나가 되었고, 평조(平調)•우조(羽調)에 모두 1백 87곡의 거문고곡이 연주되었다고 하며, 이러한 전통은 고려•조선으로 계속 이어져 현재에 이르고 있습니다.

    거문고(현금)는 유라시아대륙 북방에서 삼국시대 초 고구려에 들어온 것으로 보입니다. 거문고는 신라의 통일 이후 한민족 음악을 대표하는 악기 중 하나로 자리 잡았습니다. 조선시대 거문고는 궁중 외에 민간 풍류 음악의 핵심 악기였고, 20세기 들어 거문고산조와 창작곡 등으로 쓰임을 넓혀 왔다고 합니다.


  • 안녕하세요. 염민우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거문고는 고구려에서 유래된 전통 악기로 진나라가 고구려에 칠현금을 보냈는데 고구려에서 그 악기를 다룰줄 아는 자가 없었습니다. 따라 고구려는 이를 연주할 줄 아는 사람에게 상을 내리기 시작했는데 재상이였던 왕산악이 모양은 그대로 두고 사용법ㅁ나 개량해 만들어 100여곡을 지어 연주했더니

    검은학이 날아와 춤을 추었다 하여 현학금이라 부르고 학자를 떼어 현금, 즉 거문고라고 불리어 진것이 유래입니다.

    도움이 되셨다면 답변자에게 힘이되는 추천과 좋아요 부탁드립니다!


  • 안녕하세요. 손용준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거문고 명칭이 현학금에서 나왔다는 《삼국사기》 기록과는 별도로, '거문고'는 '검은고'로 고구려금(高句麗琴)이라고 해석하는 설도 있다고 합니다. 고구려의 옛 이름인 ‘검’, ‘곰’과 현악기를 뜻하는 ‘고’가 합쳐져 만들어진 말로서 ‘고구려의 현악기’라는 뜻으로 불렸다는 것인데 거문고라는 명칭에 대해 『삼국사기』에는 “그 때에 검은 학이 날아와 춤을 추었다고 하고 이로 인해 그 이름을 현학금이라 하였고, 뒤에 현금이라 하였다”라고 전하나 믿기 어려움이 있고 국문학자 이탁(李鐸)은 거문고를 고구려의 금, 즉 감고(거뭇고, 가뭇고)의 음변(音變)이라고 논증하고 있다고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