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지구과학·천문우주학문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지구과학·천문우주학문
양육쇼크
양육쇼크23.06.10

한류에는 영양염류가 많은 이유?

한류에 영양염류가 많은 이유가 궁금해요. 난류도 적도 부근에는 강수량이 많아서 염분이 낮고 극지방이 해수의 결빙으로 염분이 높아야 되는거 아닌가요? 왜 난류가 염분이 많은지 궁금해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4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류경범 과학전문가입니다.

    우선 한류는 난류에 비해 산소와 영양 염류가 풍부합니다.

    말씀대로 적도 부근은 강수량이 많지만, 태양에 의해 증발되는 수증기량은 그보다 훨씬 많습니다. 또한 극지방의 빙하는 바닷물이 얼어 만들어진 빙하가 아니라 과거부터 존재했던 빙하입니다. 그레서 빙하의 얼음층에서 수만년 전의 흔적이 발견되기도 하는 것이죠.

    우선 한류는 흐름이 느리기 때문에 축적된 영양염류가 많고, 그로 인한 플랑크톤도 매우 풍부하고 그것을 먹이로 삼는 다른 생물도 다양한 편입니다. 게다가 용승현상으로 인해 심층수가 표층으로 올라오기 때문에 심층수의 영양염류가 끊임없이 공급되는 것도 이유입니다.


  • 안녕하세요. 김태경 과학전문가입니다.

    극 지방에 근접하면 냉각으로 인해 표층수의 밀도가 커지면서 침강이 일어나 연직 방향의 혼합이 상대적으로 잘 이루어지게 됩니다. 이때 중저층수의 영양 염류가 표층으로 상승하여 표층에 많은 영양 염류가 분포하게 됩니다


  • 안녕하세요. 김학영 과학전문가입니다.한류는 수평적인 수직 혼합과 수직 이동을 촉진시키는 역할을 합니다. 차가운 수온은 해양에서 상승 수직 혼합을 유발시키고, 이로 인해 영양분이 해수면으로 올라오게 됩니다. 이렇게 영양분이 공급되면 식물성 및 식물성 생산자들이 성장하고 번성할 수 있으며, 이는 다른 해양 생물들에게도 영양원을 제공합니다.


  • 안녕하세요. 김경태 과학전문가입니다.

    한류는 북극과 온난한 태평양의 열대 지역 사이에서 일어나는 남북 방향의 해류로, 북극에서 시작해 동해안을 따라 남쪽으로 흐르다가 동중국해로 향하고, 일본해와 태평양으로 이어집니다. 이러한 한류는 태평양에서 가장 큰 해류 중 하나로, 지구상에서 가장 긴 해류 중 하나입니다.

    한류가 염분이 많은 이유는, 북극에서 시작해 동해안을 따라 내려올 때, 북위 40도 근처에서는 대기 대류의 영향으로 강수량이 많아지고, 그 결과 해수의 염분 농도가 상대적으로 낮아집니다. 그리고 한류는 일본해를 지나 태평양으로 이동할 때, 태평양 중앙해산림에서 대기의 영향으로 습기를 많이 받게 되는데, 이러한 습기로 인해 다시 강수가 발생하게 됩니다. 이 과정에서 한류는 염분이 증가하게 됩니다.

    반면, 난류는 적도 부근에서 일어나는 대서양의 남북 방향 해류로, 북쪽에서 남쪽으로 흐르며, 북극에서 온 남극 해류와 만나는 지점에서 해수의 염분 농도가 증가합니다. 이러한 과정으로 난류는 염분이 많은 특징을 가지게 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