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효대사의 업적으로는 어떤것들이 있나요?
안녕하세요. 어렸을때 원효대사를 접하게 된건 해골물을 해골물인지 모르고 먹었다가 꺠달음을 얻었다라는 것만 알뿐 다른내용은 모르는데요. 원효대사의 업적에는 어떤것들이 있나요?
안녕하세요. 박남근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원효는 앞서가는 불교를 배우려고 661년 의상과 함께 당나라로 떠나게 되었다. 산 속의 무덤 사이에서 잠을 자던 원효는 심한 갈증을 느껴 바가지에 고인 물을 달게 마셨는데, 이튿날 아침에 그것이 해골에 고인 빗물이었음을 알고 뱃속이 메스꺼워 토하기 시작하는 순간, 불현듯 모든 것을 깨달았다.
태종의 딸 요석 공주와 맺은 인연으로 아들을 두게 되었는데 그가 바로 이두 문자를 만든 신라 대학자 설총이었다. 스스로 계율을 어긴 것을 뉘우치며 불교의 대중화를 위하여 전국을 돌며 불도를 전하고, 당나라에서 들여온 <금강삼매경>을 왕과 고승들에게 강론하여 신라 최대의 승려로 존경을 받았다.
그리고 여러 파로 나누어진 불교를 통일시켜 우리나라 고유의 불교로 발전시켰다. 라는 것입니다.
만족스러운 답변이었나요?간단한 별점을 통해 의견을 알려주세요.안녕하세요. 임지애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원효대사의 업적은 다음과 같습니다.
원효는 불교를 대중화시키고, 분열된 국민정신을 통합하기 위해 많은 노력을 기울였다고 합나다.
고구려, 신라, 백제에서 당대 가장 고승이었던 원효대사가 신라에서 살았고 고구려, 백제를 멸망시키고 삼국을 통일했습니다.만족스러운 답변이었나요?간단한 별점을 통해 의견을 알려주세요.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불교가 귀족 중심이었지만 원효대사는 백성들에게 다가가 불교를 대중화했습니다.
그가 실제 썼던 경전은 240권에 달하며 일심사상과 화쟁사상을 중심으로 불교를 이해하려 했습니다.
만족스러운 답변이었나요?간단한 별점을 통해 의견을 알려주세요.안녕하세요. 김기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원효대사는 의상과 함께 부처님말씀을 얻고자 당나라 유학길에 올랐으나 뱃길이 끊어져 갈 수 없어서 하룻밤을 동굴에서 묶게 되었는데 하도 목말라 물을 찾던 중 물이 있어 마셨는데 그렇게 꿀맛일 수 없었다고 합니다. 아침에 일어나 어젯밤에 달게 마셨던 물을 다시보니 그 물은 해골에 고인 물이었습니다. 이를 알고난 원효는 모든 것을 토하면서 문득 깨닫게 됩니다. 어제 저녁 눈에 보이지 않으니 그렇게 달콤했던 물이 아침에 눈으로 보니 다 토하게 되는구나. 모든 것은 내 마음먹기에 달렸다라는 일체유심조를 깨닫고 의상만 당나라로 보내고 본인은 귀국하여 귀족중심의 불교를 대중불교로 만들기 위해 해동종을 창시하고 나무이미타불 관세음보살만 되뇌이면 누구나 부처가 될 수 있다고 주장했으며 화쟁사상(일심사상, 원융회통사상)을 통해 다투는 것을 한차원 끌어올려 통합시키고자 하고 무애행의 설법을 강조하였습니다. 이두문자의 대가이자 화왕계라는 글로 유명한 설총을 낳기도 하였습니다.(진평왕의 딸로 추정되는 요석공주와 사이에서 태어남)
만족스러운 답변이었나요?간단한 별점을 통해 의견을 알려주세요.안녕하세요. 정준영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655년에서 660년 사이에 요석공주와의 사이에서 설총을 낳았는데, 이 실계(失戒)의 사실이 오히려 원효로 하여금 더욱 위대한 사상가로 전환하게 되는 계기가 되었다. 실계 후, 스스로를 소성거사(小性居士)라 하면서 광대들이 무롱(舞弄)하는 큰 박을 본 따 무애(無碍)박을 만들어 천촌만락을 노래하고 춤추며 교화하였다. 그 노래의 줄거리는 <화엄경>의 이치를 담은 것으로 "모든 것에 거리낌이 없는 사람이라야 생사의 편안함을 얻나니라."라는 누구나 쉽게 알아들을 수 있는 노랫가락인데, 그 노래를 <무애가(無碍歌)>라 불렀다.
그리고 별다른 이유도 없이 미친사람과 같은 말과 행동을 하여 이해할 수 없는 점도 있어 거사(居士)들과 어울려 술집이나 기생집에도 드나들었고, 혹은 가야금과 같은 악기를 들고 사당(祠堂)에 가서 음악을 즐기기도 하였다.그는 또 여염집에서 유숙하기도 하는 등 대중들과 쉽게 만날 수 있는 생활을 하였다. 이로 인하여 가난뱅이나 어린이들까지도 모두 부처님의 이름을 알고 염불을 할 수 있게 되었다고 한다. 그의 일생은 화쟁의 방법에 의하여 자리(自利)를 구하고 대중교화를 통하여 이타(利他)를 행함으로써 석가 이후 '상구보리 하화중행'으로 대표되는 불타의 참정신을 구현한 것으로 일관되었다고 할 수 있다.
<금강삼매경>에 대한 주석서나 <대승기신론소> 등에서 볼 수 있는 일심사상(一心思想) ·무애사상(無碍思想) ·화쟁사상(和諍思想) 등은 민중교화승으로서 당시 왕실 중심의 귀족화된 불교이론을 민중불교로 바꾸는데 공헌하였으며, 또 종파주의적인 방향으로 달리던 불교이론을 고차원적인 입장에서 회통시키려 한 대저술로, 그의 세계관을 알 수 있다. 일생을 참선과 저술, 대중교화에 힘쓰던 그는, 686년(신문왕 6) 3월 30일 혈사(穴寺)에서 나이 70세, 법랍 38세로 입적하였다. 뒤에 1101년(고려 숙종 6)에 대성화정국사 (大聖和靜國師)라 시호했다.
저술은 <금강반야경소(金剛般若經疏)>3권· <금강삼매경론 (金剛三昧經論)>3권· <화엄경종요(華嚴經宗要)>· <유마경소(維摩經疏)>3권·<해심밀경소(解深密經疏)>3권· <범망경소(梵網經疏)>2권· <범망경보살계본사기 (梵網經菩薩戒本私記)>2권· <발심수행장(發心修行章)>1권· <섭대승론소(攝大乘論疏)>4권· <대승기신론종요 (大乘起信論宗要)>1권· <초장관문(初章觀文)>2권· <반주삼매경소(般舟三昧經疏)>1권· <아미타경소(阿彌他經疏)>1권· <무량수경소(無量壽經疏)>1권· <삼론종요(三論宗要)>1권 등 9부 240여권에 달한다. 이는 양으로도 남의 추종을 불허하지만, 그 내용에 있어서도 매우 훌륭하여 당나라의 석학들이 그의 저술을 '해동소(海東宵)'라고 칭송했다.
출처 : 불교설화
만족스러운 답변이었나요?간단한 별점을 통해 의견을 알려주세요.안녕하세요. 손용준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원효 대사는 불교 수행과 연구에 전념하여 인생을 바칩니다. 그는 유교와 불교를 합동시키는 표면학을 비롯하여 여러 주제를 다루는 다양한 경전을 번역하고, 그를 통해 국내의 불교 문헌이 규모를 가질 수 있도록 하였습니다.화엄종의 대표적인 사상가이기도 한데 그는 화엄경을 중심으로 천태보살 그리고 무상인 체계를 강조하였으며, 이를 바탕으로 화엄종의 문답서, 보조설을 저술하고, 화엄종을 보급하는데 큰 역할을 했다고 합니다.
만족스러운 답변이었나요?간단한 별점을 통해 의견을 알려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