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가 언제부터 사대주의가 중시되어 중국에 조공을 했을까요?
역사공부할때 제일 아쉬웠던건 중국에 대한 사대주의라고 생각됩니다 언제부터 사대주의가 심해졌는지 고려때는 중국과 겨루기도 하고 서로 대등한 관계였던거 같은데 아쉽습니다
안녕하세요. 축복 인문·예술 전문가입니다.
우리나라는 중국이 분열되어 있을때는 중국과
대등하게 싸웠고 고려초 까지만 해도 중국과 다른
또다른 황제국이었습니다. 고구려시대에는 수당을
격파해 버리기도 하지요. 하지만 고려중기이후
몽골의 침입이후 중국에 굴복하였고 그것이
조선까지 이어졌습니다. 하지만 속국개념이
아니라 전략적인 사대관계라고 보는게 맞을것 같습니다. 우리가 조공무역을 통해 더 많이 얻었고
중국도 우리의 내정에는 크게 간섭할수 없었습니다.
따져보면 중국도 한족이 이민족에게 여러차례 정복
당했으며 피지배계층으로 상당시간을 살아 갔습니다. 그래도 우리는 완전한 굴복은 하지 않았습니다.
만족스러운 답변이었나요?간단한 별점을 통해 의견을 알려주세요.안녕하세요. 손용준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사대 주의가 본격적으로 대두 된것은 조선 초 입니다. 조선인들이 명나라를 따르고 찬양한 것은 그저 그 나라를 찬양한 게 아니라, 당대 중국의 문명이 이미 조선을 앞서갔기 때문입니다. 중국의 선진 문물 등을 다시 조선이 중국을 통해 받아들일 수 있었고, 그렇게 하는 것이 조선에 이득이 되었기 때문이다. 세종 대왕 때 만든 칠정산도 중국의 수시력과 중국을 통해 들어온 아랍의 회회력을 바탕으로 만든 것이며, 훈민정음 또한 중국의 언어학 서적과 음운 관련 서적을 연구하여 창제된 것이라고 볼수 있다고 합니다.
만족스러운 답변이었나요?간단한 별점을 통해 의견을 알려주세요.안녕하세요. 강요셉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원래 조공은 고대 중국의 제후가 천자를 직접 알현하여 예물들을 진상하면서 신하의 예의를 지컸던것을 의미하는데 천자는 신하의 조공을 답례하는 의미로 벼슬을 책봉하고 은사품을 내려 주었는데 조공 책봉관계는 천자와 신하사이의 군신관계를 성립시키는 매우 중요한 관례였습니다 한국 역사속에서 중국에 대한 조공기록은 삼국시대부터 나타납니다 실제로 조선은 다른 국가보다 중국과의 사대관계를 더욱 중요하게 생각하였지만 조선의 외교적 태도가 중국에 대한 종속성을 의미하는것은 아니었다고 합니다.조공 책봉관계가 조산이 성립되어있던 시기의 국제관계에서 꼭 필요한 외교절차였기 때문에 조선이 중국과의 교류를 지속하기 위해서는 조공 책봉 자체를 거부할수 없는 시기였다고 합니다.
만족스러운 답변이었나요?간단한 별점을 통해 의견을 알려주세요.안녕하세요. 이주연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사대란 事大 = 큰 것을 섬긴다. 즉 중국처럼 큰 나라의 문화나 강대국을 따르는 태도나 사상을 말합니다. 예를 들어 서양문화를 제일로 여기고 서양문화만 떠받들고, 자기의 문화나 다른 문화를 열등한 것으로 여긴다면 사대주의로 생각할 수 있습니다. 그러므로 이 경우에도 서양과 일본문화만 우수한 것으로 보고 다른 문화를 무시한다면 사대주의로 볼 수도 있습니다.
만족스러운 답변이었나요?간단한 별점을 통해 의견을 알려주세요.안녕하세요. 정광채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우리나라가 사대주의적인 외교 정책을 추진하게 된 시기는 일제강점기 이후인 1948년 대한민국 정부 수립 이후입니다. 이후 1950년 6월 25일에 발생한 6.25 전쟁 이후에는, 북한이 중국과 소련의 지원을 받으면서 대한민국은 미국의 지원을 받게 되었습니다. 이러한 상황에서 대한민국은 미국과의 연합을 강화하면서, 중국과의 외교 관계는 냉소적인 것으로 대우하였습니다.
그러나 1990년대 이후 대한민국 정부는 중국과의 외교 관계를 개선하고자 노력하였습니다. 이러한 노력은 2000년대에 들어서 중국의 대한민국에 대한 인식이 변화하면서 더욱 강화되었습니다. 현재 대한민국과 중국은 서로 경제적, 정치적으로 긴밀한 관계를 유지하고 있습니다.
만족스러운 답변이었나요?간단한 별점을 통해 의견을 알려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