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경제동향 이미지
경제동향경제
경제동향 이미지
경제동향경제
즐거운가오리188
즐거운가오리18824.04.16

경제를 판단할 때 실질소득이 명목소득보다 더 중요한 위치인가요?

현재 경제상태를 판단할 때

단순 화폐의 크기인 명목소득보다

물가까지 포함한 실질소득이 더 중요한 요소인가요?

그리고 실질소득은 낮아졌으나

소비패턴의 변화로 오히려 소비가 더 늘어나는 경우도 있는 것인지 궁금합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7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김옥연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실질소득이라고 하는 것은 인플레이션율을 차감한 것이다 보니 명목소득보다 실질적으로 더 중요한 위치라고 할 수 있어요. 예를 들어서 300만원에서 390만원으로 급여가 30% 인상되었지만 만약 인플레이션율이 100% 상승하였다면 실제 급여인상에도 불구하고 삶의 질은 더 나빠지게 되는 것이에요


  • 안녕하세요. 전중진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실질소득을 통하여 소득 증가율과 물가상승율 등을

    비교할 수 있기에 명목적인 상승율보다 더 중요하다고 볼 수 있을 것입니다.


  • 명목소득이란, 우리가 흔히 일상생활에서 쉽게 접할 수 있는 소득을 말합니다.

    예를 들어, 어떤 노동자가 한 달간 열심히 일을 해서 1,000 원의 소득을 벌었다면, 1,000 원"은 명목소득이라고 합니다. 단순히 금액으로 표현된 소득입니다. 그런데, 우리에게 실질적으로 중요한 것은 명목금액 그 자체가 아닙니다. 즉, 우리에게 중요한 것은 돈 1,000 원이 아닙니다.

    우리에게 정말 중요한 것은, "1,000 원으로 무엇을 할 수 있을까"입니다. 만약, 1,000 원이라는 지폐 한 장으로 아무것도 할 수 없다면, 1,000 원은 단순히 종이 조각에 불과합니다.


  • 안녕하세요. 이동하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물가 수준을 고려한 실질소득이 더욱 중요하게 작용하는 편입니다.

    다만, 인플레이션 등을 파악할 때 두 가지 요소 모두 고려하게 되며, 인플레이션이 일어날 경우 물가가 상승하고, 실질소득은 명목소득보다 낮아질 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홍성택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실질소득과 명목소득은 모두 중요한 경제 지표이지만, 실질소득이 경제를 판단하는 데 더 중요한 위치를 차지합니다. 명목소득은 현재의 소득 수준을 나타내는 반면, 실질소득은 물가 상승률을 고려하여 조정된 소득 수준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실질소득은 소비자 구매력을 나타내고, 경제의 실질적인 성장과 안정성을 반영합니다.


  • 안녕하세요. 김병섭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경제를 판단할 때 실질소득이 명목소득보다 더 중요한 지표입니다.

    - 실질소득은 물가를 고려한 실질 구매력을 보여주기 때문입니다.

    - 명목소득이 늘어도 물가가 더 오르면 실질소득은 줄어들 수 있습니다.

    실질소득 감소는 일반적으로 소비 위축으로 이어집니다.

    - 소비 성향 변화 등으로 일시적 괴리가 나타날 순 있으나 지속 가능하지 않습니다.

    - 코로나19 이후 새로운 소비 트렌드가 부상했으나, 실질소득 감소의 영향을 상쇄하긴 어려워 보입니다.

    따라서 경제 활성화를 위해선 실질소득 제고가 중요한 과제입니다.


  • 안녕하세요. 인태성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질문하신 경제 판단을 위해서 실질소득이 명목소득보다 더 중요한가에 대한 내용은 다음과 같습니다.

    예, 실질소득이 경제를 판단하기 위해선 더 중요하다고 보여집니다.

    명목소득이 아무리 늘어도 실질소득이 줄어들수 있기 때문이며

    그런 경우에는 경제가 좋다고 판단할 수 없기 때문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