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학문

화학

일단순진한수박
일단순진한수박

중화반응때 전기전도도가 낮아지는이유

중화반응에서 전기전도도가 낮아지는 이유가 무엇긴가요?

앙금이 생성되는 경우도있지만 이온이

계속있을때도 있잖아요! 근데, 이온이 있어도 전기전도도가 낮아지나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1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네, 질문해주신 것과 같이 중화반응에서는 산과 염기가 만나 물과 염을 생성하는데요 이 과정에서 전기전도도가 낮아지는 이유는 반응 도중 용액 속 자유 이온의 수가 줄어들기 때문입니다.

    중화반응의 기본 원리로 예를 들어, 염산(HCl)과 수산화나트륨(NaOH)의 반응의 경우 산의 수소 이온(H⁺)과 염기의 수산화 이온(OH⁻)이 결합하여 전하를 띠지 않는 물 분자를 만들기 때문에, 용액 속의 전하 운반자 역할을 하는 이온이 줄어들게 됩니다.

    이때 용액의 전기전도도는 이온의 농도와 이동도에 의해 결정되는데요 중화반응이 진행되면서 H⁺와 OH⁻가 사라지고 전하를 띠지 않는 H₂O가 생기면, 전류를 운반할 수 있는 입자 수가 감소하고 전기전도도가 낮아집니다. 따라서 중화가 완전히 일어나면, 처음의 산이나 염기 용액보다 전도도가 크게 줄어듭니다.

    이온이 남아있는데도 전도도가 줄어드는 이유는 중화 후에도 Na⁺, Cl⁻ 같은 이온은 여전히 용액에 존재하지만 이들은 H⁺나 OH⁻처럼 이온 이동도가 매우 큰 이온이 아니기 때문에, 용액의 전체 전도도에 미치는 영향은 훨씬 작은 것입니다. 감사합니다.

    1명 평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