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경제동향 이미지
경제동향경제
경제동향 이미지
경제동향경제
모던한셰퍼드125
모던한셰퍼드12523.03.05

코리아디스카운트의 유래는 어떻게되나요?

코리아 디스크카운트는 언제부터 쓰여지게 되었나요? 그리고 코리아디스카운트는 한국의 어떠한 요인때문에 이렇게 외국의 다른기업에 비해 주가가 낮게 형성이되나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5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황대웅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코리아디스카운트는 다양한 요인으로 대한민국의 기업들의 주가가 저평가 받는 기조를 뜻한다. 기업주가가 OECD 선진국 기준 40%, 신흥국 기준 33% 평가절하 당하며 '박스피'를 만드는 원인이 코리아 디스카운트인 것입니다.


  • 안녕하세요. 정진우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코리아디스카운트(코리아디스카운트증권)는 한국의 중개회사입니다. 언제부터 사용되기 시작했는지는 정확하지 않으나 1974년에 회사를 설립하여 현재까지 운영되고 있습니다.

    코리아디스카운트의 주가는 회사의 재무실적, 국내 시장상황, 국내 금융권에 대한 투자심리 등 다양한 요인에 의해 영향을 받을 수 있습니다. 또한 회계 기준, 규제 프레임 워크 또는 시장 기대치의 차이와 같이 다른 외국 기업과 비교하여 Korea Discount의 Valuation에 영향을 미치는 특정 요인이 있을 수 있습니다.

    주가는 복잡하고 동적인 다양한 요인에 의해 영향을 받으며 가격이나 가치 변동에 대한 특정 원인을 분리하는 것은 어려울 수 있습니다. 투자자와 분석가는 일반적으로 특정 회사나 시장의 전망을 평가할 때 다양한 요소를 고려합니다.


  • 안녕하세요. 류경태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코리아디스카운트를 만들어 내게 되는 원인은 크게 세가지로 볼 수 있습니다.

    첫번째는 우리나라 지정학적리스크로 세계유일의 분단국가로 전쟁의 위험에 노출되어 있습니닺

    두번째는 가족세습의 경영리스크로 외국은 뛰어난 경영자가 회사를 운영하지만 우리나라는 가족이 세습을 하는 경영 체계입니다.

    세번째는 주주친화적이지 못하다는 것인데, 배당성향이외국에 비해서 낮기 때문입니다.

    답변이 도움이 되었으면 좋겠습니다. 좋은 하루 되세요!


  • 안녕하세요. 최현빈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코리아 디스카운트는 우리나라 기업의 주가가 비슷한 수준의 외국기업의 주가에 비해 낮게 형성되어 있는 현상을 뜻합니다. 이 용어는 1997년 외환위기 이후 해외의 증권 분석가들이 쓰기 시작하면서 사용되기 시작했다고 합니다.

    코리아 디스카운트 현상이 일어난 이유는 다양한 요인이 작용하여 복합적으로 발생한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예를 들어, 외국인 투자의 부재나 규제 등의 이유로 우리나라 기업의 가치가 제대로 인정되지 않는 것이 원인 중 하나로 지적되고 있습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기업 경영문화 개선, 배당성향 증가, 주식시장 규제 완화, 은퇴계좌 세금혜택 도입, 상속세 및 증여세 완화, 배당소득 분리과세 등으로 개인들의 시장 투자를 장려하는 것이 필요합니다. 또한, 대한민국이 속한 지역이 세계에서 가장 위험한 지역에 속해 있다는 것도 원인 중 하나로 지적되고 있습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김윤식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우리나라의 경우는 지정학적 위치로 인해서 늘 주식시장이 저평가 받는 현상이 지속되면서 코리아디스카운트라는 말이 발생하였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