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주식·가상화폐 이미지
주식·가상화폐경제
주식·가상화폐 이미지
주식·가상화폐경제
반가운참매257
반가운참매25722.10.21

매출이 좋은데 주식 상장 안하는 회사들은 이유가 멀까요?

매출이 몇천억씩 하는 회사인데도 코스닥이나 코스피에 상장 안하는 회사들이 꽤 있던데 이유가 있을까요?

상장하면 회사에 안좋은점이 생기나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6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경제&금융 분야, 재무설계 분야, 인문&예술(한국사) 분야 전문가 테스티아입니다.

    * 상장을 하게 되면 사실상 '공인기업'이 되기 때문에 공시의무, 지분보유 공시 등을 해야합니다. (* 즉, 굳이 기업에 대해 알리고 싶지 않은 사람, 주체에게도 기업의 정보가 다 공개됨.) 굳이 이를 시장에 공개하고 싶어하지 않는 회사, 자금조달이 그렇게 급하지 않은 회사의 경우 구태여 상장을 할 이유가 없는 것입니다.


  • 안녕하세요. 양승훈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상장이라는것은 회사가 자금시장에서 자금을 원활하게 조달하기 위해 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매출이 잘나오고 이익이 많이 나서 자금의 여유가 많은 회사에서는 그러한 니즈가 없을 가능성이 높기때문에 상장하지

    않는것입니다. 더불어 상장회사에 대한 많은 비용과 각종 규제도 있습니다.

    비용 대비 효익이 크지 않다면 상장을 굳이 할 이유가 없는것입니다.

    답변이 도움이 되셨길 바랍니다.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22.10.25

    안녕하세요. 이정훈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주식시장에 상장하면 대규모 자금을 확보해 한 단계 더 성장할 수 있지만 이해관계가 복잡해지고 사회적 책임도 강화되기 때문입니다.

    우선 상장을 하면 주주들의 경영권 간섭이 가능해집니다. 기업 운영이 투명하지 않을 경우 소액주주들이 임시총회를 소집해 달라고 청구하거나 회계장부 열람 요청 등의 권리를 행사할 수 있습니다.

    또 경영권에도 관여하게 됩니다. 이사를 선임하려면 주주총회를 통해 일정 비율 이상이 찬성해야 합니다. 지분이 여러명에게 분산돼 있기 때문에 기업의 의도대로 회사를 지배하기 어려울 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민창성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대주주 지분이 높거나 상장을 통한 자본금 확보가 불필요한 회사의 경우에 해당합니다. 상장을 하게 되면 여러 모로 경영상의 규제와 당국의 간섭을 받게 되어 해당 부분을 대주주가 원치 않을 수도 있습니다. 이상 간략히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 안녕하세요. 성삼현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보통 회사가 상장을 하는 이유는 자금조달의 편리성과 대외 회사의 가치를 보여주는등 익점이 있는데 상장을 하지 않는 이유에대한 좋은점은 자본금이 좋거나 공시의무에서 자유롭고 주주들로부터 경영권등 회사운영에 있어 제재를 받지 않습니다.


  • 안녕하세요. 전중진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아무래도 주식시장에 상장하는 경우

    대주주가 충분한 지분이 없다면 지배력이 약화되고

    다수의 주주들로부터 경영권에 대하여 간섭을 받을 수도 있으며

    공시의무가 강화되는 등 하여 기업 경영에 어려움 등의 이유로

    상장하지 않는 경우도 있으니 참고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