점 흉터가 아물지 않으면, 다시 생길수도 있나요?
점 흉터가 아물지 않을 경우, 다시 생길수도 있는 건가요? 아니면, 괜찮아진 상태에서 다시 점이 생기는건지요? 다시 생기는 과정이 궁금합니다!
정확한 진단과 치료는 의사의 진료통해 확인하는 것이 필요합니다. 아래 내용은 참고만 해주세요. 점(모반)을 제거한 후 흉터가 완전히 아물지 않은 상태는 피부 조직이 아직 회복 과정에 있음을 의미합니다. 이 상태에서는 주변 멜라닌 세포의 활성화로 색소침착이 발생할 수 있어 마치 점이 재발한 것처럼 보일 수 있습니다. 실제로 완전히 제거된 점이 정확히 같은 위치에 재발하는 경우는 드물지만, 제거 시 일부 모반세포가 남아있다면 그 세포들이 다시 증식하여 비슷한 형태의 점으로 나타날 가능성이 있습니다. 특히 선천성 모반이나 복합성 모반의 경우 피부 깊은 층까지 세포가 존재하기 때문에 표면적 제거만으로는 완전히 제거되지 않아 재발률이 높습니다. 따라서 점 제거 후에는 흉터 관리뿐만 아니라 정기적인 관찰이 중요합니다. 색소 변화가 지속되거나 크기가 커지거나 가려움, 출혈 등의 증상이 나타난다면 피부과 전문의의 재평가가 필요합니다. 또한 자외선은 색소침착을 악화시킬 수 있으므로 제거 부위의 자외선 차단도 매우 중요합니다.
안녕하세요. 김나영 의사입니다.
점은 멜라닌세포가 증식하거나 멜라닌 색소가 과도하게 침착된 상태로 점 제거 후 다시 생겼다고 느끼는 경우는 크게 두 가지입니다.
점 제거시 피부 표면만 깎거나 색소 일부만 제거된다면 피부 아래 남아있던 멜라닌세포가 다시 활동하며 색소가 올라옵니다. 특히 깊은 진피층에 있는 점이라면 재발률이 더 높습니다. 이 경우 반복 치료가 필요할 수 있습니다.
기존에 있던 점 자리에 새로운 점이 생길 수도 있습니다. 이는 염증 후 색소침착이나 멜라닌세포 과잉반응 때문일 수 있습니다. 흉터가 충분히 아물기 전 자외선에 노출시 색소가 다시 침착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점 제거 후에는 반드시 자외선 차단이 중요합니다.
점 그 자체가 흉터 때문에 생기지는 않으나 아물지 않은 상처에 멜라닌세포가 과반응하여 색소침착이 생길 수는 있습니다. 이 색소침착이 점처럼 보여서 점이 재발한 것처럼 보일 수 있습니다. 따라서 치료 이후에는 재생연고나 흉터연고, 딱지나 흉터는 억지로 제거하지 않는 노력 등을 해야 하고 자외선 차단도 신경써서 해주셔야 합니다.
답변이 도움이 되었길 바랍니다.
안녕하세요. 김수비 의사입니다.
점 제거 후 흉터가 완전히 아물지 않으면, 점이 다시 생길 가능성이 있습니다. 점을 제거할 때 피부 표면만 제거된 경우, 점의 뿌리가 남아 있다면 시간이 지나면서 다시 색소가 올라와 점이 재발할 수 있어요. 특히, 색소세포가 깊이 박혀 있는 경우 레이저로 완전히 제거되지 못하면 점이 흐릿하게나마 다시 올라올 수 있죠
또한, 상처 부위가 염증을 겪거나 과다한 자극을 받으면 색소 침착이 생겨 점처럼 보일 수도 있습니다. 점이 아니라도 피부가 과색소침착(PIH) 상태가 되면 점이 생긴 것처럼 보일 수 있는데, 이 경우 시간이 지나면 점점 옅어지기도 합니다. 하지만 피부 타입에 따라 영구적인 색소침착이 될 수도 있어요
만약 점을 제거한 후 상처가 오래도록 아물지 않거나, 점처럼 보이는 색소가 남아 있다면 피부과에서 추가적인 치료(재시술, 연고 치료, 색소침착 치료 등)를 고려하는 것이 좋습니다. 특히, 점이 다시 생기는지 관찰하면서 자외선 차단과 흉터 관리를 철저히 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