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등산·클라이밍 이미지
등산·클라이밍취미·여가활동
등산·클라이밍 이미지
등산·클라이밍취미·여가활동
땅속의 말똥구리
땅속의 말똥구리23.02.20

높은 산에 등산할수록 귀가 멍해지는건 왜인가요?

높은 산에 등산하러 올라가면 귀가 멍해지면서 울리는것 같은데요. 이런 높은산에 올라갈 수록 이명현상이 발생하는 이유는 무엇인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6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행복한치타28입니다.

    귀가 먹먹해지는 증상은 유스타키오관이 기압을 유지하지 못해 고막의 모양이 달라져 발생하는 것입니다. 평상시에 평평한 모양을 하고 있던 고막이 기압이 강한 중이 쪽에서 외이 쪽으로 밀려나 부풀어 있는 모양을 하는 거죠. 밀려난 고막은 소리를 제대로 진동 시키지 못하고, 이 때문에 귀가 멍해지는 느낌을 받게 된답니다.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23.02.21

    안녕하세요. 앞으로도 유소유 뒤로도 유소유입니다.

    귀에 있는 공기와 바깥쪽 공기와의 압력차이 떄문에 발생합니다.

    등산을 하면서 높은 산에 올라가면 이 압력차이가 더욱 커져서 귀가 멍해지는 것입니다.

    조금 지나면 사라지니 걱정 안하셔도 됩니다.


  • 안녕하세요. 답변왕입니다.

    높은 산에 등산하면서 귀가 멍해지는 현상은 대기압의 변화로 인해 발생합니다. 산을 오르면 대기압이 감소하면서 공기압이 낮아지는데, 이것이 귀에 압력을 줍니다. 이 압력차는 귀와 코, 목 등의 부분에 영향을 줍니다.

    귀의 경우, 이 압력차가 귀에 있는 공기와 바깥쪽 공기와의 압력차이 떄문에 발생합니다. 이 차이는 귀의 안쪽과 밖쪽의 압력이 일치하지 않아 발생합니다. 이 차이가 커지면 귀안에 있는 공기의 압력이 바깥쪽 공기의 압력에 맞추어지기까지 시간이 걸립니다. 그 결과, 등산을 하면서 높은 산에 올라가면 이 압력차이가 더욱 커져서 귀가 멍해지는 것입니다.

    또한, 산악 등반 중에는 청각기관과 함께 몸 전체가 큰 압력 변화에 노출됩니다. 이는 일시적으로 귀 속에서 소리가 둔해지는 현상과 함께 두통, 어지러움, 산소 부족, 복부 통증 등의 증상도 나타날 수 있습니다. 이러한 현상은 대기압 변화와 함께 발생하며, 일반적으로 고도가 낮아지면서 증상이 호전됩니다. 따라서, 산악 등반을 할 때는 안전에 주의하고, 체력 및 산악 기술을 충분히 갖추고 있어야 합니다.


  • 안녕하세요. 현명한백로33입니다.

    우리 귀는 소리를 모아 고막으로 전달해 주는 외이, 고막을 진동 시키는 중이, 소리를 인지하는 내이 이렇게 세 부분으로 나눌 수 있습니다.

    이중 외이와 중이는 소리를 잘 듣기 위해 서로 같은 기압으로 유지되는데요. 기압이 같아야 고막이 소리(공기의 진동)에 맞춰 제대로 진동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이처럼 중이의 기압을 조절해 주는 역할을 유스타키오관이 담당하고 있죠.

    귀가 먹먹해지는 증상은 유스타키오관이 기압을 유지하지 못해 고막의 모양이 달라져 발생하는데요. 평상시에 평평한 모양을 하고 있던 고막이 기압이 강한 중이 쪽에서 외이 쪽으로 밀려나 부풀어 있는 모양을 하는 거죠. 밀려난 고막은 소리를 제대로 진동 시키지 못하고, 이 때문에 귀가 멍해지는 느낌을 받게 된답니다.


  • 안녕하세요. 북한산나그네입니다.

    저는 젊어서부터 많은 산을 다녀본 마니아입니다

    우리나라의 산은 그다지(?) 높은 산이 없는 편이지만 아주 높은 산을가면 산소가부족하여 생기는 현상이라고 할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스타박스입니다.

    비행기를 타도 같은 현상이 발생하는데요.

    높은 곳으로 갈 수록 기압은 낮아지게 됩니다.

    귀 안의 기압과 외부와의 기압 차에 의해서 나타나는 자연현상이예요. 귀안의 기압이 외부의 기압보다 높으면 귀가 멍해집니다. 자연스럽게 귀의 고막을 보호하는 차원에서 발생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