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경제

경제동향

밤잠많은모기2
밤잠많은모기2

우리나라 3분기 gdp가 1.2% 나온 것은 예상치보다 높게 나온건가요?

우리나라의 3분기 gdp가 민간소비와 설비투자 회복에 힘입어 2분기보다 1.2% 성장했다고 하더군요.

다만 건설투자는 건물 건설 부진 영향으로 0.1% 감소했다고 나오는데 우리나라 3분기 gdp가 1.2% 나온 것은 예상치보다 높게 나온건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11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경제전문가입니다.

    민간소비, 설비투자 회복으로 깜짝 상회한 측면은 있으나 세부항목은 견조하지 못한 부분이 있습니다. 시장 컨센서스 대비 상단에 속하나 지속가능성 평가는 4분기 지표 확인이 필요합니다.,

  • 안녕하세요. 박형진 경제전문가입니다.

    3분기 GDP 성장률은 1.2%로 발표된 것은 높은 성장률이며 1%이상 상승한 경우는 4년만에 처음이라고 합니다.

    물론 부동산 규제 등으로 건설투자 감소 등 부정적인 요인은 있으나 민생지원금 등의 효과가 있었음은 분명합니다.

    참고 부탁드려요~

  • 안녕하세요.

    우리나라의 3분기 실질 국내총생산 성장률 1.2%는 예상치를 웃도는 결과로 나타났습니다.

    한국은행이 8월에 전망했던 성장률은 1.1%였으나, 실제 속보치는 이보다 0.1%p 높은 1.2%를 기록하며 깜짝 성장을 달성했죠

    내수와 수출이 쌍끌이 성장을 하면서 연간 경제성장률 1% 달성 가능성이 커졌습니다.

  • 안녕하세요. 배현홍 경제전문가입니다.

    상회한 수치가 맞습니다. 그동안 국내 직접투자 감소부진이 작년부터 올해까지 가장 부진했고 내수감소보다 더 심한게 국내직접투자부진이었습니다.

    1.2프로는 이번 한국은행이 예상한 1.1프로다 상회한 수치가 맞습니다.

  • 안녕하세요. 김명주 경제전문가입니다.

    우리나라 2025년 3분기 GDP 성장률 1.2%는 한국은행이 8월에 제시한 예상치를 0.1%p 상회한 결과로, 시장 예상을 뛰어넘은 것으로 보입니다. 이는 민간소비와 설비투자, 수출 회복이 주된 성장 동인으로 작용한 것으로 판단됩니다.

  • 안녕하세요. 권용욱 경제전문가입니다.

    네 잘나온겁니다. 건설투자가 0.1% 감소지만 2분기가 -1.2%로 약세였기 떄문에 많이 개선된겁니다. 그리고 정부보조금 영향으로 민간소비에서 크게 상승해서 GDP가 일시적으로 높게 나왔다고 생각됩니다. 다만, 이는 일시적 효과로 4분기에는 다시 감소할것으로 예상됩니다.

  • 안녕하세요. 김창현 경제전문가입니다.

    한국의 3분기 GDP성장률 1.2%는 한국은행의 전망치와 대부분 증권사의 시장 컨센서스를 웃돌아 깜짝 성장으로 평가받으며 1년 6개월 만에 가장 높은 분기 성장률을 기록했습니다. 특히 정부의 소비 쿠폰 지급 등 정책 효과와 소비 심리 회복에 힘입어 민간 소비가 1.3% 증가하며 성장의 대부분을 견인한 것이 예상치를 상회한 주된 원인입니다. 또한 반도체 제조용 기계 등 설비 투자가 2.4% 크게 늘고, 반도체와 자동차 중심의 수출 호조세가 이어지면서 경제 회복에 대한 기대감을 높였습니다. 다만, 건설 투자는 건물 건설 부진으로 0.1% 감소하며 내수 회복의 불균형을 여전히 보여주었습니다. 이 같은 3분기 선방으로 오해 연간 GDP 성장률이 1%대를 달성할 가능성이 더욱 커졌다는 긍정적인 평가가 나오고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정현재 경제전문가입니다.

    지난 8월 경제전망 당시 한국은의 예상치(1.1%)를 넘어선 것입니다. 이를 바탕으로 한국은행은 올해 한국경제 성장률이 1%대를 기록할 수 있다고 예상했습니다.

  • 안녕하세요. 인태성 경제전문가입니다.

    질문해주신 우리나라 3분기 GDP에 대한 내용입니다.

    예, 이번에 민생회복소비쿠폰 및 수출 회복 등으로 GDP 성장이 1.2퍼센트로 나왔는데

    이는 한국은행이 예측한 수치보다 높게 나온 것이라

    좋은 신호로 보여집니다.

  • 안녕하세요. 김민준 경제전문가입니다.

    한국은행이 발표한 2025년 3분기 GDP 성장률 1.2%는 지난해 1분기 이후 1년 6개월 만에 가장 높은 수치로, 8월 예상치 1.1% 웃돈 깜짝 성장입니다. 소비 회복과 투자 증가, 수출 호조가 주요 요인으로 작용했습니다.

  • 안녕하세요. 김윤식 경제전문가입니다.

    우리나라의 3분기 GDP 성장률은 1.2%로 8월 한국은행이 전망한 1.1%대비 조금 높게 나왔고, 이는 2024년 1분기 1.2%이후 가장 높은 수치입니다. 이는 반도체 등의 수출호조와 소비쿠폰 등의 영향으로 분석되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