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예금·적금 이미지
예금·적금경제
예금·적금 이미지
예금·적금경제
윤자매아빠
윤자매아빠23.02.24

미국은 금리를 인상을 했는데 우리나라는 동결한 이유?

우리나라는 미국의 금리에 따라가는데 이번에는 미국과 다르게

금리를 동결을 하였습니다. 그렇게 한 이유는 무엇인가요?

미국과의 금리가 차이가 나게 될텐데 왜 동결을 한걸까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7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류경태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현재 우리나라가 기준금리를 동결할 수 밖에 없었던 이유는 작년부터 빠르게 인상된 대출금리로 인해서 개인들의 대출이 1금융권은 감소하고 2금융권은 증가하게 되고 카드론이나 리볼빙 서비스의 증가로 이어졌고, 가계대출의 연체가 점차 증가하고 있습니다. 게다가 작년부터 경제 폭탄의 뇌관이 되고 있는 2금융권의 PF대출이 점점 연체가 증가하하면서 현재 PF대출 전체 잔액 중 8%가 연체 발생 중으로 약 1조원2천억원 정도가 연체 상태입니다. 즉 금통위는 당장 금리동결을 하게 되면 환율이 상승할 것이라는 것을 인지하였겠지만 이러한 국내의 부채로 인한 리스크가 너무 크다 보니 금리인상을 하지 못한 것으로 보입니다.

    게다가 작년부터 우리나라 정부는 기준금리 인상에도 불구하고 시장금리를 지속적으로 누르는 시장개입을 해오고 있었는데, 지금 기준금리를 인상하게 된다면 억눌렀던 시장금리가 크게 상승할 여지가 있었기 때문입니다. 지금 한국은행의 스탠스는 달러환율은 현재 보유한 외환보유고로 방어를 3월 한달간 하겠다는 의지로 보이는데, 아마도 3월의 CPI값와 FOMC회의 결과값으로 인해서 환율이 상승하게 되더라도 국내의 부채 리스크를 더욱 우려하였기에 이러한 금리동결을 결정하였고, 추가적으로 4월 13일에 금통위 일정이 있다 보니 3월 22일의 FOMC회의 값을 보고 사후 대응을 하겠다는 것으로 해석을 해야 할 것으로 보입니다.

    답변이 도움이 되었다면 좋겠습니다. 좋은 하루 되세요!


  • 안녕하세요. 박창변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현재 미국은 코로나 팬데믹으로 인해 시중에 지금이 많이 풀려 인플레이션을 잡는데 주목적이 있습니다!

    그에반해 우리나라는 미국보단 인플레이션이 덜한 상태죠!

    그렇다고 미국과 금리차가 크면 국내에 들어와 있던 외국 자본이 빠져나가 환율 상승 등 부작용이 발생되어 어느정도 미국 금리 인상 기조에 맞춰가고 있어 이번 동결은 큰 영향이 없을듯 하네요!

    대신 우리나라는 부동산 담보대출이 많이 금리인상에 따른 경기위축이 더 커서 오히려 이번 결정은 잘한 결정이라고 보에지네요!


  • 안녕하세요. 전중진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우리나라와 같은 경우 현재 미국의

    기준금리를 따라가지 못하는 것입니다.

    너무 속도감 있게 인상을 하면 국내 경제에

    더 큰 파급력이 있을 것 같아 동결을 한 것으로 보입니다.


  • 안녕하세요. 경제&금융 분야, 재무설계 분야, 인문&예술(한국사) 분야 전문가, 지식iN '절대신 등급' 테스티아입니다.

    * 그 이유는 금리를 올리게 되면 일단 소비가 위축됩니다. 그리고 기업의 대출 이자 부담이 커지므로 투자도 위축되게 됩니다. 마지막으로 수입이 상대적으로 유리해져 경상 적자 즉, GDP 성장에 악영향을 미치는 게 금리 인상이므로 동결한 것이라 할 수 있습니다. 원래는 0.25%p 정도라도 올렸어야 하며, 한은이 물가를 잡으려는 의지가 진짜 강했다 그러면 0.5%p까지도 올렸어야 합니다. [ 물가 잡을 생각 거의 X ]

    - - - 추가적으로 궁금하신 점은 의견으로 남겨주시면 제가 아는 범위 내에서 성의껏 답변을 드려볼 수 있도록 하겠습니다^^ - - -


  • 안녕하세요. 채지훈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미국과의 금리차이가 발생하면 외화자금유출에로 문제가 발생하고 이로인해 환율상승으로 발생하여 수출이 문제가 더해지지만 그보다 현재 국내경기둔화 특히 부동산경기침체를 막기 위한 단기의 전략인것같습니다.


  • 안녕하세요. 김락현 경제·금융 전문가입니다. 미국은 대부분 가계대출이 고정금리입니다. 코로나전에 싼 금리로 국민들이 대출받았죠. 하지만 한국 가계 대출은 대부분 변동금리입니다. 금리가 올라갈수록 국민들의 고통이 크죠. 그래서 한극은행이 경기침체로 쉽게 금리를 못올립니다.


  • 안녕하세요. 황대웅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미국의 금리 인상을 하였지만 국내 시장의 경기 둔화 또는 침체를 우려해서 금리 동결을 한 것으로 보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