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예금·적금 이미지
예금·적금경제
예금·적금 이미지
예금·적금경제
포근한떄까치254
포근한떄까치25423.12.04

미국은 금리는 계속 올렸었는데 우리나라는 왜 동결인가요?

안녕하세요.

선진국인 미국의 금리를 따라가야 된다고 생각하는데 우리나라는 자꾸 동결을 하는데요.

어떤 이유로 동결을 하는지 궁금합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9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김옥연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미국은 기준금리를 올리더라도 주택담보대출이 30년고정금리라서 큰 문제가 없었지만 우리나라의 경우에는 대출의 92%이상이 변동금리이며, 가계대출이 매우 심각한 상황이다 보니 금리를 인상하게 되는 경우 경제위기의 가능성까지 이어질 수 있다 보니 여러가지 핑계를 대면서 금리를 인상하지 않았어요


  • 안녕하세요. 전중진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우리나라와 같은 경우 가계부채 및 기업부채 등이

    상당하여 금리를 너무 올리면 버티지 못할 가능성이 있어

    동결을 한 것입니다.


  • 안녕하세요. 신동진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미국은 인플레이션 완화대비 경기침체가 두드러지지않지만, 한국은 경기가 안좋아 금리를 인상하면 경기가 더 나빠지기 때문입니다


  • 안녕하세요. 최현빈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 금리를 올려서 인플레이션을 막아야 하는 것은 우리나라도 동일하지만 금리를 올렸을 때 버틸 경제적 체력이 있어야 가능합니다.

    • 하지만 국내 경제가 지금보다 더 높은 금리를 견딜 체력이 안되기 때문에 우리나라는 더이상 금리를 올리지 못하였습니다.

    • 물가를 잡으려다 자칫잘못하면 경제를 잡을 수 있기 때문입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이명근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미국이나 우리나라나 중앙은행이 기준금리를 결정하는 가장 큰 요인 2가지가 경제성장률 및 물가 입니다


  • 안녕하세요. 정의준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현재는 미국도 동결수준을 유지할 것으로 보입니다.

    지금까지 우리나라가 미국의 금리인상시점에서도 금리를 올리지 못했던 것은 내부적 요인으로 가계부채의 부실화 우려, 부동산 FP 대출의 부실우려 등이 가장 크다고 하겠습니다.


  • 안녕하세요. 김종완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우리나라도 금리를 꽤 많이 올린 상태이며, 현재보다 금리가 더 높아지게 되면 가계 부담이 커지기 때문에 서민들이 더 어려워질 것이라고 판단하여 더 올리지 않는 것으로 보입니다.


  • 안녕하세요. 이동하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우리나라는 미국과 다르게 가계 부채가 지속적으로 증다세입니다.

    금리를 올리게 되면 가계 부채로 인한 이자 부담이 증가하게 되며, 경기 침체의 우려가 더욱 커지게 됩니다


  • 안녕하세요. 인태성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현재 대한민국의 정부에서는 부동산에 부담이 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하고자

    기준 금리를 올리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