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예금·적금 이미지
예금·적금경제
예금·적금 이미지
예금·적금경제
창백한 푸른점
창백한 푸른점24.01.18

미국보다 우리나라 금리가 낮은이유?

미국은 금리인상을 계속해도 우리나라는 계속해서 동결을 하면서까지 미국보다 금리를 높이진 않더라구요 왜 우리나라금리를 미국보다 높이지 않는거죠?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8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경제·금융전문가, 인문·예술 전문가 조유성 AFPK 입니다.

    ✅️ 원래 더 높여야 합니다. 안그러면 미국으로 자본 유출이 일어나 환율이 크게 오르기 때문이죠. 하지만 현재 총선 국면이고, 금리를 더 높였다가는 각종 대출자들의 부담이 늘어남과 동시에 기업의 연쇄도산 우려가 있어서 섣부르게 올리지 못하고 있는 것이 됩니다.


  • 안녕하세요. 신동진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우리나라도 미국처럼 올려야하지만, 기업들 자본조달비용 및 가계부채 이자비용 땜에 못올립니다


  • 안녕하세요. 이동하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우리나라의 경우 미국과 달리 가계 부채가 차지하는 비중이 높기 때문에 쉽게 기준금리를 올리지 못하는 것입니다.

    가계 부채로 인한 이자 부담 증가로 경기 침체가 우려되기 때문이며, 이와 달리 미국은 기준금리를 올림에도 경제 지표가 예상보다 잘 나오고 있기 때문에 고금리를 유지하는 것입니다


  • 안녕하세요. 최현빈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 현재보다 금리를 더 올리게 될 경우 국내 경제가 감당하기 어려운 수준의 금리가 되기 때문입니다.

    • 금리로 국가의 경제를 조절하곤 하는데 무작정 미국의 금리를 쫓아가면 우리나라 경제가 무너질 수 있기에

      한계금리까지 올리고 그 뒤로는 지속적으로 동결하고 있습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이명근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기준금리가 꼭 미국보다 높아야할 이유는 없습당 어느나라건 중앙은행이 기준금리를 결정하는 요인은 그나라의 성장률과 물가를 감안해서 정하는거거든용~


  • 안녕하세요. 김옥연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미국보다 우리나라의 기준금리가 지속적으로 낮은 상황이 유지되는 것은 우리나라의 부채리스크가 매우 심각한 상황이기 때문이에요. 우리나라의 경우 변동금리 비율이 고정금리 비율보다 높은 상황이다 보니 금리를 올리면 이자부담이 더욱 증가될 수 밖에 없는 구조였는데, 부채 또한 다른 국가들에 비해서 월등히 많다 보니 금리를 인상하게 될 경우 부채로 인해서 경제위기로까지 이어질 수 있어 금리를 올리지 못하였던 것이에요


  • 안녕하세요. 전중진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미국만큼 금리를 올리면 우리나라의 과도한 가계 부채와

    기업들의 어려움으로 인하여 미국에 맞추어 올리지 못한 것입니다.


  • 안녕하세요. 홍성택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미국은 세계 최대의 경제 대국으로 경제 성장률이 높은 편입니다. 경제 성장이 빠르면 수요가 증가하고 인플레이션 압력이 생기기 때문에 중앙은행은 금리를 높여 경기를 안정시키려고 합니다. 반면에 우리나라는 경제 규모가 작고 성장률이 낮아 인플레이션 압력이 상대적으로 낮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