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음악 이미지
음악학문
음악 이미지
음악학문
참신한호박벌102
참신한호박벌10223.03.08

우리나라 가야금은 언제부터 연주가 되었나요?

우리나라의 전통 국악기 중에,

가야금은 어느 시대 때부터 누가 연구하여, 현재까지 연주되고 전승되고 있는지

궁금하여 질문드립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4개의 답변이 있어요!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23.03.08

    안녕하세요. 임지애 인문·예술 전문가입니다.

    가야금은 신라시대 3현( 가야금, 거문고, 향비파)

    중에 하나로서,서기 6세기경 가야국의 가실왕이 제작하였다고 전해집니다.

    오동나무 판위에 열두줄을 얹어 타는 한국의대표적인 현악기죠.

    진흥왕 13년에는 우륵이 왕명을 받들어 국원(지금의 충주)에서 계고에겐 가야금을 전파시켰다고 합니다.



  • 안녕하세요. 김수희 인문·예술 전문가입니다.

    가야금은 신라시대 3현(三絃 : 가야금, 거문고,향비파)

    중에 하나로서,서기 6세기경 가야국(伽倻國)의가실왕이 제작하였다고

    전하여지며, 오동(梧桐)나무 판위에 열두줄을 얹어 타는 한국의 대표적인 현악기이다.

    진흥왕 13년에는 우륵이 왕명(王命)을 받들어 국원(國原

    : 지금의 충주)에서 계고(階古)에겐 가야금을,

    법지(法知)에겐 노래를, 만덕(萬德)에겐 춤을 가르쳐 널리 전파시켰는데,

    특히 가야금은 멀리 일본에까지 전해져서 신라금

    (新羅琴)이라 불리웠으며, 그때의 악기가 지금도 나라의 정창원(正創院)에 보존되어 있다.

    가야금의 종류에는 두가지가 있는데,

    하나는 정조와 풍류계통의 음악을 연주하는 풍류 가야금이 있고,

    풍류 가야금보다 약간 적고 줄과 줄 사이에 간격을 약간 좁혀서

    만든 속곡을 위한 산조 가야금이 있다.

    현재 악기 제작은

    이영수, 최태진, 고흥곤, 최동식 등 10여명이 가내 수공업적 방법으로 생산해 내고 있다.


  •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가야금은 김부식이 지은 삼국사기에 의하면 가야국의 가실왕이 만들었다고 하며 가야고 라고도 합니다.

    20세기 후반부터 전통적인 12현 가야금의 줄 수를 늘려 음계와 음역에 변화를 주거나 , 줄의 재질을 달리하여 음색에 변화를 주거나, 몸통의 크기와 구조를 바꾸어 음역을 넓히고 음량을 키우는 등 가야금을 개량하려는 시도가 계속 되고 있습니다.

    성금연, 박옥, 황병주, 박일훈의 개량가야금들이 전통음악의 5음 음계조율을 기본으로 하고 작곡가 시성천은 7음 음계로 조욜할수도 있게했습니다.


  • 안녕하세요. 가야금은 한국의 대표적인 전통악기 중 하나로, 역사가 깊은 악기입니다. 가야금의 정확한 연주 시작 시기는 알려져 있지 않지만, 4세기경 삼국시대에는 이미 존재하였다는 기록들이 있습니다. 당시 가야금은 고구려, 백제, 신라의 궁중에서 연주되는 악기였으며, 그 후에도 가야금은 우리나라 전역에서 사랑받는 악기로 자리 잡았습니다.

    조선시대에는 더욱 발전되어 궁중음악에서 매우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였으며, 일반인들 사이에서도 인기를 얻어 노래와 함께 연주되기도 하였습니다. 현재에도 가야금은 전통음악 연주를 비롯하여 현대음악에서도 다양하게 사용되고 있습니다.

    도움이 되셨다면 좋아요 & 추천 부탁드려요~ 행복한 하루 되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