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통 가야금과 현대 가야금의 차이점과 공통점은 무엇인가요?
우리나라 전통 악기인 가야금은 가야에서 유래되었다고 할 정도로 역사가 오래되었을 텐데요. 전통 가야금과 현대에 연주되는 가야금의 차이가 있을까요? 그리고 공통점은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장경수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25현 가야금은 일반적인 #산조(12현) 가야금을 개량해서 만든 악기인데요, 두 악기의 가장 큰 차이점은 바로 줄의 개수입니다. 산조 가야금이 12현으로 이루어져 있는 반면, #25현 가야금은 말 그대로 25현으로 이루어져 있죠. 하지만 이외에도 몇 가지 다른 차이점이 있다고 해요.
이름에서도 알 수 있듯이 두 가야금은 줄의 개수가 다르다는 것이 가장 쉽게 확인할 수 있는 차이점인데요. 하지만 줄의 개수를 제외한 다양한 차이점이 숨어있다는 사실! 줄도 줄이지만 줄을 받치고 있는 #안족의 개수 또한 다르답니다. 안족은 기러기의 발을 닮았다고 하여 붙여진 이름인데요. 이렇게 가야금의 명칭에는 이러한 옛사람들의 재치가 숨어있는 이름들이 많답니다.
안족 [雁足] : 거문고나 가야금 등의 악기 중간에서 줄을 떠받치는 역할을 하는 기러기발 모양의 나무기둥.
초기의 가야금은 줄의 개수가 12개인 것이 기본적이었지만, 시대가 변하고 발전함에 따라 음악도 많은 변화와 발전을 거쳤죠. 그러한 변화와 발전에 발맞추어 가야금의 줄의 개수도 늘어난 것인데요. 가야금 줄의 개수뿐만이 아니라 줄을 구성하는 소재 역시 변화를 겪었답니다. 100% 명주실만을 사용하여 줄을 만드는 전통 방식과는 달리 25현 가야금의 경우에는 줄을 이루는 명주실에 나일론을 섞어 줄의 탄성을 더해 소리의 울림과 음량이 커지게 하였답니다.
또한 산조(12현) 가야금과 25현 가야금을 동시에 봤을 때 줄의 개수 이외에 다르게 보이는 곳은 바로 #학슬과 #부들이라는 것인데요. 앞서 언급한 안족처럼 학슬은 학의 무릎이라는 뜻으로써 색실로 감아서 꾸며놓은 모습이 학의 다리 같다 하여 붙여진 이름이랍니다. 부들은 한자어가 아닌 순수 우리말로 현들을 서로 잇는 부분을 뜻하는데요. 25현 가야금에서는 이러한 학슬과 부들을 찾아볼 수가 없답니다.
학슬 [鶴膝] : 가야금이나 거문고 등에서 줄과 부들이 만나는 곳을 학의 다리 모양으로 꾸민 부분
부들 : 거문고나 가야금 등의 현악기에서 줄을 꼬리 부분에 붙들어 매듭지어 놓은 끈 = 염미(染尾)
가야금은 섬세한 악기이기에 보관이나 거치하는 것에 많은 신경을 써야하는데요. 이렇게 25현 가야금의 아래 부분에는 산조(12현) 가야금에는 없는 악기를 받칠 수 있는 다리가 존재한답니다. 또한 전통음악에 쓰이는 5음계가 아닌 개량된 25현 가야금의 경우에는 현대적인 음악의 연주를 위해 일반적인 7음계를 사용합니다.
산조(12현) 가야금과 25현 가야금의 차이점, 줄의 개수 말고도 다양한 차이점이 존재하죠? 가야금에 입문하시는 분들에게 조금이나마 도움이 되었길 바랍니다
만족스러운 답변이었나요?간단한 별점을 통해 의견을 알려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