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험금 청구시 제출하는 서류 중 진단서와 확인서
안녕하세요 보험금 청구시 제출하는 서류 중 진료확인서, 진료비세부내역서, 진단서는 다른건가요??
주로 확인서 요청하는거 맞죠!?
감사합니다
안녕하세요. 박경태 보험전문가입니다.
진료확인서는 회사나 학교에 제출해서 출근 출석하지 않은 날짜에 대한 증빙으로 사용하는 것으로 단순 진료 사실을 증명하기 위한 서류입니다. 진료비세부내역서는 환자가 지불한 진료비의 상세한 내역을 보여주는 서류로 진료받은 항목별 금액, 국민건강보험의 급여와 본인부담금 비급여 항목의 분류 및 금액 등을 확인할 수 있어서 보험청구를 하실 때에는 진료비영수증과 함께 진료비 세부내역서가 필요하겠습니다. 진단서가 의사가 환자를 진찰하거나 검사한 결과를 종합하여 환자의 건강상태와 질병을 증빙하기 위한 의학적 판단서류로 치료목적 및 진단목적의 의학적 소견이 담겨 있어 법적효력을 가지고 있어서 보험청구할 때에 사용되는 서류입니다. 보험금 청구시에는 진료비세부내역서, 진단서 등을 활용하시면 되겠습니다.
1명 평가안녕하세요. 장옥춘 손해사정사입니다.
안녕하세요 보험금 청구시 제출하는 서류 중 진료확인서, 진료비세부내역서, 진단서는 다른건가요??
주로 확인서 요청하는거 맞죠!?
: 이는 어떤 보험상품에 대해 청구 하느냐에 따라 다릅니다.
청구하고자 하는 보험이 실손보험이라면, 기본적으로 진료비영수증, 진료비세부내역서가 기본적으로 필요하고,
진료비의 세부내역의 심사과정에서 진료비에 대해 확인이 필요한 경우에는 해당 진료를 왜 했는지에 대한 소견서가 필요한 경우가 있습니다.
따라서, 우선은 진료비영수증, 진료비세부내역서로 청구하시고,
심사결과에 따라 지급되지 않는 진료비가 있다면 그에 따른 소견서를 받아 추가 제출하시면 됩니다.
1명 평가안녕하세요. 이원태 보험전문가입니다.
어떤보험금을 청구하느냐에 따라서 서류가 조금씩 차이가 날 수 있습니다 질병으로 단순 실비만 청구할때는 영수증 진료비세부내역서가 필요하며 상해일 경우는 초진챠트나 질료기록지가 필요할 수도 있습니다 급여부분만 있으면 진료비세부내역서는 없어도 됩니다 그외에도 차이는 있을 수 있으니 알아보고 준비하는것이 좋습니다
1명 평가안녕하세요. 권태민 보험전문가입니다.
어떻 보험특약을 청구하시느냐에 따라 필요한 서류들이 조금씩 다릅니다.
실손의료비 기준으로 진료영수증, 진료세부내역서, 약제비영수증 정도만으로도 충분히 청구가 가능합니다.
진단서에는 어떠한 진단을 받았는지와 의사분의 짧은 소견이나 치료방식이 적혀 있습니다.
진단서의 경우 발급비용이 다른 영수증에 비해 높기에
진단코드가 확인되는 진료(통원)확인서로 대체하는 경우도 많이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이선희 보험전문가입니다.
실손보험은 진료비영수증,진료비세부내역서,약제비영수증이 필요하며 진단서는 암진단비,골절진단비 등과 같이 진단비를 청구할 때 필요합니다.
진료확인서는 병명을 알고 싶을 때 필요합니다.
안녕하세요. 하성헌 보험전문가입니다.
진단서의 경우 의사의 소견과 질병코드 등이 들어가 있는 내용이라고 보시면 됩니다. 이는 주로 어떠한 상황에서 사고가 났는지 등에 대한 내용이 적혀있기도 합니다. 진료확인서의 경우 진단서보다 간단하게 의사의 소견등이 적혀있지 않고, 진료를 한 확인서라고 보시면 됩니다. 진료비 세부내역의 경우 어떠한 진료를 상세하게 받았는지 기록을 한 것이라고 보시면 됩니다.
안녕하세요. 김상웅 손해사정사입니다.
진단서는 진단명에 대하여 주치의께서 확정진단을 증명 하는 서류이고
통원확인서 및 입퇴원확인서는 해당 진료를 받았다는 서류이나
진단명이 표기되는 경우가 많고 서류발급 비용이 낮아서
진단비 담보 청구가 아니라면 실손의료비 청구시 등 해당서류로 갈음할 수 있습니다.
세부내역서는 어떤 치료를 받았는지 세부적으로 기재된 서류입니다.
감사합니다.
보통 진단서와 영수증(세부내역서) 정도로 처리가 됩니다.
보험금 청구건에 따라 진료확인서나 다른 진료챠트 등 요청하는 서류가 달라질 수 있습니다.
서류 발급하여 제출하시면 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