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역사 이미지
역사학문
역사 이미지
역사학문
조용한문어80
조용한문어8023.02.22

교황청은 왜 이탈리아에 있는 것인가요?

바티칸 시국이 교황청이잖아요.

근데 카톨릭의 최고 기관이 왜 이탈리아 안에 위치하게 된 것인가요?

교황청이 이탈리아에 생긴 역사적 배경이 무엇인지 궁금합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6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김태호 인문·예술 전문가입니다.

    교황청이 이탈리아 로마에 있는 것은 크게 두 가지 이유 때문입니다.

    첫째, 로마가 성도 교회의 탄생지이자 성도 교회의 본거지였습니다. 그래서 교황이 로마에 위치하게 되었고, 교황청도 이곳에 세워지게 되었습니다. 교황청은 교황의 권위와 권력을 상징하는 중요한 기관이었습니다.

    둘째, 이탈리아는 중세 유럽에서 교황의 권위와 영향력이 가장 큰 지역 중 하나였습니다. 교황의 권위와 영향력이 강한 이유는 중세 유럽에서 로마 가톨릭교회가 중요한 종교 기관으로 자리 잡았기 때문입니다. 로마 가톨릭교회는 중세 유럽에서 교육, 문화, 예술 등의 분야에서 큰 영향력을 미쳤고, 교황청이 이탈리아에 위치한 것은 그 영향력을 대표하는 것이기도 합니다.


  • 안녕하세요. 이예슬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교황청이 이탈리아에 있는 것은 로마 제국의 시대부터 이어져온 역사적 배경이 있습니다.

    로마 제국이 흔들리고 붕괴된 후에도 로마 시대의 유산을 계승한 로마 교황이 존재했습니다. 이들은 로마의 시민권을 보유하고 있었으며, 이후 교황들은 이탈리아의 로마와 그 근교에 위치한 바티칸 시국에 권력을 두었습니다.

    교황청은 이후 교황의 권위와 함께 이탈리아 반도의 정치와 문화에 큰 영향을 미치게 되었고, 이탈리아와 로마가 중심이 되어 기독교 문화가 발전하였습니다. 이러한 역사적 배경으로 인해 교황청은 이탈리아와 로마에 깊이 뿌리를 내리고 있으며, 현재에도 바티칸 시국이 이탈리아 내의 독립국으로 인정받고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교황청에 역사를 아래와 같이 정리해 드립니다.

    가톨릭교는 313년 콘스탄틴 대제의 밀라노칙령에 의하여 공인된 이래 영향력을 계속 확대하여, 1859년 교황이 이탈리아 중앙부를 중심으로 1만 8,000㎢에 달하는 지역과 300만 명 이상의 주민을 통치하기에 이르렀다.

    그러나 1859년 이탈리아 통일전쟁을 일으킨 빅토르 엠마누엘(Victor Emanuel)이 1870년 교황의 군대를 격파하고 로마시를 점령함으로써 교황의 세속적 권력행사는 종지부를 찍게 되었다.

    이후 교황청과 이탈리아 간에는 교황청의 지위를 어떻게 결정할 것인가에 관한 ‘로마문제(Questio Romana)’가 발생하였다. 이 문제는 1929년 2월 교황청과 이탈리아의 무솔리니(Mussolini, B.) 정부 사이에 라테란조약이 체결됨으로써 해결되었다. 기본협정·재정협정 및 종교협약으로 구성되어 있는 이 조약에 의하여, 가톨릭은 이탈리아 내에서 법률로 특권을 보장받는 국교로 공인되었고, 바티칸은 하나의 주권국가로 인정받게 되었다. 이로써 바티칸은 1929년 2월 11일 이탈리아로부터 독립하였다.

    그러나 무솔리니 정권 때 체결된 라테란조약은 현시대에 맞지 않는 불합리한 내용이 있으므로 이를 개정해야 한다는 이탈리아 내의 여론으로 인하여, 교황청과 이탈리아 정부 사이에 조약 개정을 위한 교섭이 1967년경부터 추진되어 오다가 1984년 2월 종교협약을 개정, 전문 16조의 새로운 협약이 체결되었다.

    신협약으로 가톨릭은 이탈리아 국교로서 지위를 잃게 되었고, 공립학교에서의 종교교육제도가 폐지되는 등 이탈리아 내에서의 가톨릭 특전이 크게 축소되었다.

    교황은 바티칸의 통치자일 뿐 아니라 전 세계 가톨릭교회의 수장으로 전 세계 교회에 대하여 직접적 통치권을 지닌다. 교황은 종신제이며, 현재의 교황 프란치스코(Francis)는 2013년 3월 제266대 교황으로 즉위하였다.

    세부 행정 등에 관한 사항은 국무성·성성(聖省)·사무국·법원 등으로 구성된 행정부(Roman Curia)에서 시행한다. 국무성의 책임자인 국무장관은 교황을 직접 보좌하는 가장 긴밀한 직책이고, 일반 국가의 수상급에 해당된다.

    교황청 내의 방어와 질서는 약 100명의 스위스 경호대에 의하여 유지되며, 외곽 치안은 이탈리아경찰이 담당한다. 바티칸은 정의와 사랑에 기초한 보편적 평화의 추구, 국가와 교회간의 조화 및 협력추구를 외교정책의 기본으로 하고 있다.

    대외적으로 자유를 가장 선명히 표방하며, 선교활동의 자유보호를 위하여 종교의 박해에 대해서는 과감히 반대하고 있다. 1994년 말까지 149개국(EC 포함)과 공식외교관계를 맺고 있으며, 특히 1994년 6월 이스라엘과 10월에는 팔레스타인해방기구(PLO)와 정식외교관계를 수립하기도 했다. 또한, 제3세계 발전기금의 설립을 호소하는 등 제3세계의 권익옹호를 위해서도 노력하고 있다.


  • 안녕하세요. 김동연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교황청이 이탈리아에 있는 것은 기원전부터 로마가 세계적인 권력 중심지였기 때문입니다. 그리스, 이집트, 중동 등과의 교류와 문화 발전으로 인해 로마의 영향력은 전 세계에 미쳤으며, 기독교의 탄생과 성장 역시 로마에서 일어났습니다. 그래서 기독교에서 중요한 지위를 차지하는 교황청은 로마에 위치하게 되었으며, 이후 이탈리아가 유럽의 문화와 예술, 그리고 교회와 관련된 중심지로 자리 잡으면서 교황청이 이탈리아에 위치하게 된 것입니다. 또한 교황청은 교황의 권위를 표현하기 위해 로마 카톨릭 교회의 중심지인 바티칸 시국 내에 위치하고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역사적으로 이탈리아, 특히 로마는 오랫동안 왕정과 민정을 거듭하며 발전했고, 기본 이념을 카톨릭 사상에 두었습니다. 다른 국가도 카톨릭과 신부가 존재했지만, 당시 로마가 가장 강력한 세력이었고, 그에 따라서 로마의 바티칸의 신부를 교황으로 추대하는 형태로 카톨릭이 진화하였고, 그 역사가 현재까지 이어진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이진광 인문·예술 전문가입니다.교황청이 로마에 있는 이유 - 브런치

    https://brunch.co.kr › ...

    2016. 5. 31. — "왜 교황청이 로마 있나요? 예루살렘이 아니고." 내가 초6년 때 견진성사(세례 다음 단계) 받을 때, 교황청 특사(이태리人)에게 한 질문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