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육아

양육·훈육

시뻘건앵무새111
시뻘건앵무새111

자율성 강한 아이 무조건 안돼 하는 엄마..

23개월 아이는 자율성이 많이 강한 아이인데요.

무조건 자기 혼자 하는걸 좋아합니다.

그런반면 저는 위험해 보이거나 물을 쏟을꺼 같은 그런 상황이 생기면

무조건 안돼 하게 되는데요..

아이에게 이런 육아 방식은 맞지 않는거죠?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8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천지연 어린이집 원장입니다.

    23개월 이면 자아가 성립되기 시작하면서 자기 주장도 강해지는 시기 입니다.

    이 시기에 아이의 고집을 잡아주지 않는다면 아이는 무엇이 잘못된 것인지 인지를 하지 못하고, 그것이 옳은 줄 알고 잘못된 행동을 반복하며 실수를 하기도 할 것입니다.

    아이가 위험한 행동을 한다면 그 즉시 아이를 앉히고 아이의 손을 잡고 아이의 눈을 마주치며 단호하게 위험한 행동을 하는 것은 옳지 않아 라고 말을 해주고, 왜 위험한 행동을 하는 것이 옳지 않은지 그 이유를 아이의 눈높이에 맞춰 설명을 해주는 것이 좋겠습니다.

  • 안녕하세요. 은창덕 보육교사입니다.

    아이들을 보육 하거나 훈육 할 때 가장 사용 하면 안되는 말이 안돼 입니다

    하지만 현실을 안돼를 사용하지 않으면 교육이 안 될 정도 입니다

    아이가 위험한 행동을 하려고 한다면 엄마가 도와 줄까 나 엄마 아빠와 함께 할까 로 바꿔서 말해야 합니다

    이런 교육도 여유가 있어야 하고 부모님도 많은 연습이 필요 합니다

    부모님 세대는 안돼라는 말에 익숙하게 자라난 세대 이다 보니 자식에게도 사용 하게 되는 경우가 많이

    있습니다

    아이가 물건을 옮기는 일이 위험해 보인다고 해서 안돼 라고 이야기 하면 아이의 입장에서는 물건 옮기는 일

    자체가 부정적인 일이 되어 버리기 때문에 문제가 될 수 있고 아이들이 혼란 스러워 할수 있기 때문이죠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안녕하세요. 김현 초등학교 교사입니다.

    아이가 선택할 수 있는 여지를 주고, 왜' 안돼'인지 설명하는 방식이 효과적입니다. 위험한 상황에서는 이유를 설명하고 안전한 대안을 함께 제시해 주세요

  • 안녕하세요. 김선민 초등학교 교사입니다.

    자율성이 강한 아이에게 '무조건 안돼'라는 말은 아이의 독립성과 자기주도성을 억누를 수 있습니다. 자율성을 지닌 아이들은 스스로 결정하고 경험을 통해 배우는 것을 좋아하기 때문입니다

  • 안녕하세요. 황정순 보육교사입니다.

    아이의 자율성과 독립심을 키우는 것은 매우 중요하지만, 동시에 안전과 건강을 고려해야 합니다. 따라서 "안돼"라는 말을 너무 자주 하거나 강제로 못하게 막는 것은 좋지 않을 수 있지만, 적절한 제한과 규제를 통해 아이가 안전하고 건강하게 성장할 수 있도록 도와야 합니다.
    아이가 원하는 일을 미리 계획 세우고 그 안에서 허용 범위를 정해주세요. 예를 들어, 물놀이를 하고 싶다면 욕실에서 정해진 시간 동안만 하도록 허락해줄 수 있습니다.
    아이가 어떤 행동을 하려고 할 때, 가이드라인을 제시해주고 선택권을 주세요. 예를 들어, 놀이터에서 모래놀이를 할 때는 손을 깨끗이 씻고 옷을 갈아입을 장소를 알려준 후, 어떤 도구를 사용할지 선택하도록 해주세요.
    아이가 왜 그렇게 행동하는지 이유를 물어보고 이해하려고 노력하세요. 그리고 아이의 의견을 존중하고 공감해주세요.

    위의 방법들을 실천하면 아이의 자율성과 독립심을 키우면서도 안전과 건강을 유지할 수 있을 것입니다. 그러나 각 아이마다 성격과 성향이 다르기 때문에, 상황에 맞게 적절한 방법을 찾아 적용하는 것이 필요합니다.

    답변이 도움이되었기를 바랍니다~~.

  • 안녕하세요. 강수성 초등학교 교사입니다.

    틀렸다고 할 수는 없을 것 같습니다. 위험하거나 하면 안되는 행동을 부모가 제지를 하지 않는 다면 그누구도 아이에게 알려줄 사람은 없습니다. 다만 아주 어린 아이들은 차라리 하면 안되는 것들을 눈에서 최대한 치워버려 그런 말을 안할 수 있는게 부모님 스스로에게도 아이에게도 좋은 것 같습니다. 조금씩 커가면서 말을 잘 알아듣고 조심히 할 수 있을 때까지는 요.

  • 안녕하세요. 어린이집 원장입니다.

    아이에게 무조건 안돼 라는 표현보다는

    ~이런 식으로 하는 게 더 좋겠다 라는 표현을 사용해 주세요

    부정적인 표현은 줄이고, 자율성과 안전을 균형 있게 하는 것이 좋겠습니다.

  • 안녕하세요. 박하늘 초등학교 교사입니다.

    23개월 아이가 자율성이 강한 것은 긍정적인 신호로, 독립심과 자신감을 키우는 중요한 시기입니다. 아이가 무조건 혼자 하려고 하는 것도 자연스러운 발달 과정입니다. 하지만 아이의 안전을 걱정해 무조건 "안 돼"라고 말하는 것은 아이의 자율성을 억누를 수 있습니다. 대신 위험한 상황을 피하면서도 아이가 스스로 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방법을 찾는 것이 중요합니다. 예를 들어, 물을 쏟을 것 같으면 작은 물병을 주거나, 위험한 상황에서 차근차근 설명해 주면서 아이가 안전하게 시도할 수 있도록 유도하는 것이 좋습니다. 아이가 스스로 할 수 있는 경험을 통해 성취감을 느끼게 하면서, 동시에 안전을 고려한 제한을 두는 균형 잡힌 접근이 필요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