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생활꿀팁 이미지
생활꿀팁생활
생활꿀팁 이미지
생활꿀팁생활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23.04.04

미국은 2차대전 때 왜 나가사키와 히로시마에 원폭을 투하했나요?

미국이 2번 원자폭탄을 일본에 투하함으로써 일본이 항복을 했는데

원폭 투하를 왜 나가사키와 히로시마에 했나요? 당시에는 완전시골이었는데 대도시에 투하하면 더 큰 효과를 보지 않았을까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5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흐드러지게핀꽃밭146입니다.

    나가사키와 히로시마가 군수품 보급의 최전선에 있던 도시였기 때문입니다. 군수공장들을 파괴한겁니다


  • 반가운두루미911
    반가운두루미91123.04.06

    안녕하세요. 투명한숲제비211입니다.

    미국이 나가사키와 히로시마에 원자폭탄을 투하한 이유는 1945년 8월 6일에 히로시마에 투하한 원자폭탄이 일본에 대한 군사적 승리를 이루는 데 필요한 도시와 군사적인 시설을 집중적으로 파괴할 수 있는 가장 적합한 대상이라고 판단한 것이 주된 이유입니다. 나가사키는 일본의 핵물자원을 생산하는 중요한 지역이었고, 미군은 나가사키도 대상으로 삼았습니다.



  • 안녕하세요. 홀쭉한사랑새191입니다.


    미국 입장에서는 군인들의 사상자도 많았고 반전 여론도 뜨거웠습니다. 여기에 전쟁 상황이 매우 불리했습니다. 전세를 바꿀 수 있는 방법을 모색한 것이 원폭투하였습니다. 만일 원폭투하가 실패했다면 현재의 미국은 존재하지 않을 정도로 마지막 승부수였습니다.


  • 안녕하세요. 재빠른반딧불251입니다.

    일본은 1945년 8월 15일에 대미, 대영 등 연합군에 대한 항복서를 제출하기 전에 미국에 의해 원자폭탄을 투하 받았습니다. 그리고 나가사키와 히로시마는 미군이 선택한 목표지였는데, 두 도시는 군사적 중요성이 높지 않으면서도 인구가 많았기 때문입니다. 미국은 이러한 대규모 폭격을 통해 일본의 인프라를 파괴하고 인구에게 상실감과 고통을 느끼게 하여 항복을 강제하고자 했습니다.

    또한, 미국은 원자폭탄을 사용함으로써 전쟁의 끝을 빠르게 이루고 일본을 족쇄에 묶어 통제하려는 전략적인 목적도 있었습니다. 미국은 전쟁을 끝내기 위해 일본의 전체 항복을 요구하였으나, 일본은 단호하게 거부했습니다. 이러한 상황에서 미국은 일본의 항복을 빠르게 이루고 일본을 통제하려는 목적을 가지고 원자폭탄을 사용하게 되었습니다.

    마지막으로, 미국은 원자폭탄의 기술적인 우위를 유지하기 위해서도 원자폭탄 사용을 선택한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당시 미국은 소련과의 국면에서 원자폭탄의 우위를 유지하려 하였으며, 이를 위해 원자폭탄 사용은 필수적인 것으로 여겨졌습니다.


  • 안녕하세요. 인자한페리카나70입니다. 도쿄는 대공습으로 폐허가 되어서 다른 도시에 투하 할려고 했는데 날씨가 안좋아서 실행못했습니다, 그나마 군사공업도시인 나가사키와 히로시마에 날씨가 좋아서 투하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