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전기·전자 이미지
전기·전자학문
전기·전자 이미지
전기·전자학문
산에서 내려온 족제비
산에서 내려온 족제비24.02.25

촛불이 꺼지지 않고 계속 유지할수 있는 원리는 무엇인가요?

예전에는 전기가 들어오지 않는 곳에는 촛불을 많이 켜고 생활을 했다고 하는데 초에 한번 불을 붙이면 꺼지지 않고. 유지를 할수 있는 원리는 무엇인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3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손성민 과학전문가입니다.

    예전에는 전기가 들어오지 않는 곳에서는 촛불을 많이 사용했다고 하셨는데 촛불이 한 번 켜지면 꺼지지 않고 계속 유지되는 원리는 불꽃의 연소 원리와 관련이 있습니다.

    촛불은 불꽃이 나오는 부분인 심지와 연료인 양초가 있습니다. 양초에는 기름이나 왁스와 같은 연료가 들어있고 심지는 연료를 흡수하여 불꽃을 일으킵니다. 이 불꽃은 연료를 연소시키면서 열과 빛을 발생시킵니다.

    이 불꽃은 연료가 모두 연소될 때까지 계속해서 연소를 유지하며 연료가 모두 연소되면 불꽃은 꺼집니다. 하지만 양초에는 연료가 계속해서 공급되기 때문에 불꽃이 꺼지지 않고 계속해서 유지될 수 있습니다.

    그리고 양초의 심지는 연료를 흡수하면서 불꽃을 일으키는데 이 과정에서 산소가 필요합니다. 따라서 촛불을 켜놓은 공간에는 산소가 충분히 공급되어야 합니다. 만약 산소가 부족하면 불꽃이 약해지거나 꺼질 수 있습니다.

    따라서 촛불이 꺼지지 않고 계속 유지되는 원리는 연료와 산소의 조화로 인해 연속적으로 연소가 유지되는 것입니다. 감사합니다.

    도움이 되셨다면 아래 추천과 좋아요 부탁드립니다.


  • 안녕하세요. 박성학 과학전문가입니다.

    초는 파라핀이나 향유기름 밀랍을 가공한 성분으로 만드는데 심지에 계속적으로 태울수 있는 성분이 흡수가 되기 때문에 잘 꺼지지 않습니다


  • 안녕하세요. 김경태 과학전문가입니다.

    촛불이 초에 한 번 붙으면 꺼지지 않고 유지되는 원리는 열역학의 세법칙 중 하나인 '열원칙'에 기반합니다. 이 법칙에 따르면, 열원에서 발생한 열은 주변 환경으로 전달되며, 이로 인해 주변 공기가 가열되고, 가열된 공기는 열이 발생한 곳으로부터 떨어져 나갑니다. 이와 같은 열 전달 과정에서 촛불이 유지될 수 있습니다.

    촛불의 불꽃은 불꽃의 주변 공기를 가열시키고, 이로 인해 공기 중의 분자들이 열에 의해 움직이게 됩니다. 이러한 열 운반 과정에서 공기는 불꽃에서 발생한 열을 계속해서 가져가며, 이는 촛불의 불꽃이 꺼지지 않고 계속 유지되는 원리입니다.

    또한, 촛불의 불꽃이 꺼지지 않는 또 다른 이유는 연소 반응이 지속되기 때문입니다. 촛불의 불꽃에서는 연소가 일어나면서 산소와 연료가 반응하여 열이 발생합니다. 이러한 반응에서 생성된 열은 주변 공기로 전달되며, 이를 통해 불꽃이 꺼지지 않고 유지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