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0대가 안정적인 자산성장을 위해 세워야할 전략은?
사회초년생 시절을 지나 40대에 들어서면 자산관리 방식을 어떤식으로 해야할까요? 장기투자, 현금흐름 관리, 비상금마련등 안정적인 자산 성장을 위해 한 재무 전략이궁금해요
안녕하세요. 전중진 경제전문가입니다.
아무래도 40대에는 노후준비를 시작하여야 하며
내집 마련과 더불어서 장기적 관점에서
연금저축, IRP 를 활용한 투자를 하시며
비상금은 약 3개월 정도의 급여만 있으면 된다고 보여집니다.
40대에는 ISA, 개인연금저축, IRP 계좌 등 절세상품을 통해 노후대비를 위한 자금을 꾸준히 모아가는 것이 중요하다고 생각합니다. 절세상품을 통해 미국 S&P500지수 ETF와 코스피 200지수 ETF를 꾸준히 적립해 나가며 투자비중은 미국8, 한국2 정도가 적당하다고 생각합니다.
안녕하세요. 인태성 경제전문가입니다.
질문해주신 40대가 안정적인 자산 성장을 위해서 세워야 하는 전략에 대한 내용입니다.
일단 기본적으로 소비 절제와 소득 증대가 실천 되어야 하고
어느 정도 리스크를 지면서 투자를 해야 할 것입니다.
저라면 안정적인 부동산 등에 1/3, 예금 등 안전한 현금성 자산에 1/3, 그리고
주식, 코인 등 투자에 1/3 정도로 구성해서 자산을 증식해보겠습니다.
안녕하세요. 경제전문가입니다.
40대는 안정성과 수익성의 균형이 중요한 시기입니다. 비상금은 6개월 생활비 수준으로 확보하고 장기투자는 연금저축, IRP, ETF 등으로 분산해야 합니다.
현금흐름은 소비 통제와 자동이체 저축으로 관리하고 보험은 과잉 가입 말고 필요한 보장만 유지하는 것이 좋습니다. 자산 증식은 무리한 레버리지보다는 꾸준한 투자로 쌓는 게 핵심입니다.
안녕하세요. 정현재 경제전문가입니다.
저축을 기본적으로 하고 계시고 이후 목돈이 좀 쌓이기 시작한 40대는 주식과 채권을 6 대 4로 하는 게 좋은데요. 또한 40대는 소비와 지출이 가장 늘어난 시기이기에 저축이 줄어드는 것에 대해 스트레스를 받을 필요가 없습니다. 먼저 자신의 재무상태를 파악해서 고정지출, 고적소득, 불필요한 소비를 점검하셔서 보험과 대출, 투장품을 정리한 뒤 은퇴 자금, 자녀에게 들어갈 자금, 대출금 상환, 비상금 등을 목적별로 분리하시면 좋습니다.
투자는 연금저축, IRP 계좌를 활용해서 채권형펀드와 ETF, 고금리 예적금에 나눠 넣으시면 좋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