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철학 이미지
철학학문
철학 이미지
철학학문
Jy천사1004
Jy천사100423.09.08

유태인 학살은 왜 이뤄지게 된건지요?

안녕하세요? 제 2차 세계대전 당시 유태인 학살이 자행되고 있었는데요 왜 사람들이 유태인을 싫어하고 유태인 학살까지 가게 됐는지 궁금합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3개의 답변이 있어요!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23.09.08

    안녕하세요. 이승원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유대인 학살은 반유대인의 정서가 컸던 시대적 배경이라 할 수 있겠습니다.

    역사적 측면에서 보면 유럽의 반유대 정서는 뿌리가 깊습니다. 특히 중세에 반유대주의가 강했던 것은 기독교와 유대교의 교리 차이 때문이었다. 유대교인들은 기독교의 예수 그리스도를 구세주로 인정하지 않고, 그저 예언자 중의 한 명으로 생각한다. 그들은 아직 구세주가 오지 않았고, 자신들만 구원받을 수 있다고 여전히 믿고 있습니다. 이러한 이유로 기독교인들이 대부분이었던 중세 사회에서 유대인들은 눈에 가시 같은 존재였습니다.

    기독교인들은 끊임없이 유대인을 개종시키려고 노력했고, 개종을 거부했다는 이유로 지속적인 박해를 가했습니다. 유대인들에 대한 부정적인 생각들은 시간이 흐를수록 반유대주의 정서를 키웠고 종교적 살인을 불러일으키기도 했습니다.


  •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제 1차 세계대전이 일어나기 전부터 독일에서는 반유대주의 사상이 싹트고있었고, 제 1차 세계대전이 끝난 후 나치당에 가입한 히틀러는 반유대주의 감정을 드러내기 시작합니다. 히틀러는 게르만족 우월주의 사상을 가지고있었고, 1차 세계대전 패배의 원인을 다른 곳에서 찾아야만 했습니다.

    독일인이 아닌 다른 구성원 때문에 전쟁에서 패했다는 이유를 찾아야 했는데, 그 대상이 유대인으로 유대인의 배신과 무능함으로 전쟁에서 진 것이라 생각 즉, 전쟁 패배의 원인을 유대인에게 덮어씌우게 됩니다.

    당시 유럽에서는 유대인들의 자본이 아주 큰 영향력을 발휘했는데, 히틀러는 이들의 자본을 흡수하기 위해 반유대감정을 드러낸 것으로, 유대인 학살의 토대를 만드는 과정이 계속 진행된겁니다.

    1929년 벌어진 경제 대공황을 틈타 반유대주의를 강화,이로 인해 대중들의 분노를 유도, 반유대주의는 폭발적으로 증가하게 됩니다.

    히틀러의 연설로 인해 반대유주의가 자리잡았고, 1933년 나치당이 집권하면서 유대인은 공직에서 쫓겨나기 시작, 1935년 유대인과 독일인 사이 혼인 금지 시민권 박탈, 1936년 유대인은 의사, 교수, 변호사 자리에 있을수 없게 됩니다.

    1938년부터 본격적인 탄압을 시작하게 되는데 제 2차 세계대전 발발로 유대인의 재산을 강제 매각, 1940년 유대인들을 수용소로 강제 이주시키기 전 일정 구역으로 강제 이주시켜 거주하도록 합니다.

    1941년 히틀러는 유럽에 사는 유대인을 전멸시키기로 하고 최초의 학살 수용소를 만들고 후 7곳으로 확대, 1942년부터 유대인을 전면적으로 학살하기 시작합니다.


  • 안녕하세요. 경제·금융전문가 조유성 AFPK 입니다.

    ✅️ 히틀러의 '인종주의'에 근거해서 자행되었다고 할 수 있는데 당시 이를 정당화 하기 위한 사상적 기반은 소위 게르만족은 우월하고, 유태인들은 우월하지 않다는 잘못된 사상에서 나온 결과였다고 볼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