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생활꿀팁 이미지
생활꿀팁생활
생활꿀팁 이미지
생활꿀팁생활
투더헤븐0622
투더헤븐062224.05.20

오늘부터 병원 진료시 신분증 지참 의무?

오늘부터 병원 진료시 신분증은 보여주어야 하나요? 왜 이러한 불편사항이 생긴 것이죠? 매번 병원이나 의원 를시 신분증 지참 의무인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10개의 답변이 있어요!
    1. 건강보험과 관련하여 타인의 명의를 무단으로 도용하거나, 이용해서 진료를 보는 등 부정 수급의 문제가 발생하자 이를 예방하는 차원에서 진료 시 신분증을 지참하도록 한 것입니다.

    2. 다만, 한번 진료를 본 곳에서 6개월 이내 재진을 보는 경우에는 신분증을 지참하지 않으셔도 됩니다. 또한 응급 환자인 경우도요.

    3. 이러한 예외적인 상황을 제외하고는 항상 진료 시 신분증을 지참하셔야 합니다.


  • 5.20부터 본인 확인을 위해 신분증이 꼭 있어야 진료를 봅니다 신분증이 없으면 건강보험이 적용되지않구요 추후 신분인증을 하여 환급받을수 있다네요


  • 병의원 및 약국 5월20일부터 신분증 지참 필수 입니다.

    쉽게 말해서 의료사고 방지 및 대리로 약을 구매하는것을 방지 하기 위함인데요. 원래 신분증은 필수로 지참하고 다니는거라 별로 불편한 점은 없었어요.


  • 불편사항이 생긴 이유는 부정수급이 많아져서 입니다.

    직견한해 적발된 겅수만 4만건이 넘습니다.

    그런 부정 수급자들이 없으면 애초부터 필요 없는 제도입니다.

    그러나 신분증 하나 챙기는게 무슨 어려운 일이며 모바일신분즐으로도 되니 미리 스마트폰에 등록해 놓으면 될 일이니 특별히 불편할 것도 없습니다.


  • 병원에서는 원래 신분증 확인을 합니다 보험과 관련되기도 하고 병원 진료 기록 등 신분증을 확인 안 할 경우 엄청난 혼선이 오게 됩니다 그래서 신분증을 확인하는 거예요


  • 안녕하세요. 건강보험료의 증가에 따른 대안으로 건강 보험 혜택 받는 사람인지 확인하기 위하여 신분증을 제출 받습니다. 부정수급을 막기 위함입니다


  • 신분증 확인하는 것은 건강보험 자격 도용을 막고, 마약 등 향정신성 의약품 오용을 방지하기 위해서다. 국민건강보험공단은 이와 같은 '요양기관의 수진자 본인·자격 확인 의무화 제도'를 시행한다고 합니다.


  • 병원 방문을 할 때 이제부터는 신분증을 가지고 있어야 하는데 다른 사람 이름으로 진료를 받고 건강보험 혜택을 받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라고 보시면 됩니다.


  • 국민건강보험법이 개정되면서

    본인확인이 의무화 됐다고 합니다.

    그래서 신분증을 가져가셔야

    보험 적용이 되는거고요

    신분증 안가져가면

    보험 적용이 안되서

    모든 금액을 그대로 다 내셔야 됩니다.

    그리고 모바일 신분증을

    스마트폰에 넣어 다니시면 되는거라

    불편한것도 사실 없습니다.


  • 네 맞습니다 오늘부터 병원진료시 신분증 지참입니다 한번 신분증 보여주면 6개월까지 유효하고 만약 신분증 깜박하면 14일 이내 방무쌔서 건강보험료 받아야해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