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제 해결 능력을 보면 아이의 성향이 어떻게 나오나요?
하나의 문제에 집중하는 아이도 있고, 여러 문제에 대해서 빠른 결과를 내기 위해 노력하는 아이들도 있고, 또 어떠한 성향이 있을 수 있을까요?!!
안녕하세요. 천지연 어린이집 원장입니다.
문제해결능력을 보면 아이의 성향이 어떻게 나오는가도 중요하지만
아이가 일상생활을 하면서 상대와 소통, 학습태도, 아이의 놀이의 부분을 집중적으로 유심히 관찰하는 것도 중요하답니다.
아이의 성향은 내성적이고, 외향적 기질로 나뉘어지는데요.
아이의 기질 이라고 하는 것은 타고난 것 성향(유전적) + 후천적(환경적) 요인으로 나타납니다.
성격은 마음만 먹으면 변화할 수 있어요. 즉, 후천적으로 변화할 수 있기 때문에
예를 들어 아이가 차분함이 부족하고, 진득함 없이 문제를 빨리 해결하는 성향이 짙다 라면 정적인 활동을 통해서 차분함을 유지시켜 주는데 도움을 준다면 아이의 성격은 차분하고 진득한 성격으로 변화할 수 있겠습니다.
안녕하세요. 황석제 보육교사입니다.
문제를 포기하는 아이 다른 사람에게 문제를 전가하는아이
투덜되거나 짜증을 내는 아이등이있겠네요
안녕하세요.
아이가 문제를 해결해나가는 과정, 그리고 역량을 보면서 아이의 성향을 전체적으로는 아니더라도 부분적으로 관찰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서, 아이가 끈기 있게 접근하여 어떻게든 문제를 해결하고자 한다면 아이가 끈기가 있고 인내심이 있는 아이라는 걸 알 수 있겠죠. 반대로 아이가 어려움이 있다면 문제를 해결하는 도전하는 마음이 부족하거나 소심한 성향 등임을 알 수도 있을 거예요. 이처럼 부분적으로 아이의 성향을 파악할 수 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김현 초등학교 교사입니다.
문제해결능력을 보면 아이 성향이 어느정도 보이지만 그게 100퍼센트 맞는건 아닙니다
안녕하세요. 임경희 보육교사입니다.
아이의 성격과 성향 그리고 환경적인 원인으로 문제해결능력은 모두 다르게 나타나고 있습니다.
하나의 문제를 집중하여 해결하려는 아이, 여러문제를 빨리 해결하려는 아이, 문제가 있으면 그것을 해결하지 않으려하거나 중요하게 생각하지 않는 아이도 있습니다. 이러한 문제해결능력은 학습과 경험을 통해 얻을 수 있기때문에 훈련이 필요합니다. 아이의 부족한 부분을 채울 수 있도록 부모님의 역할이 중요하고 도움을 주는것도 좋습니다.
안녕하세요. 어린이집 원장입니다.
문제를 창의적이고 독창적으로 푸는 아이도 있구요,
그리고 어떤 아이는 정확한 결과를 내기 위해서 철저하게 계산하면서 푸는 아이들도 있습니다.
다양한 아이들의 성향을 이해하고 부족한 부분은 채워주면서 학습을 하는 것이 좋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