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역사 이미지
역사학문
역사 이미지
역사학문
유능한스라소니93
유능한스라소니9322.08.10

현재 중국의 청나라를 대하는 자세가 궁금 합니다

중국은 나름 여러민족 복합국가로서 화합을 강조하지만 뿌리깊은 한족 선민사상도 가진듯 합니다.

그런데 정치적이나 역사적으로 한족 다수의 국가인 현재 중국이 청나라시대를 한족국가였던 명나라등과 비교해 어떤 시각을 가지고 있는지 궁금합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3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경제&금융 분야, 재무설계 분야, 인문&예술(한국사) 분야 전문가 테스티아입니다.

    아무래도 청나라 자체가(* 누르하치, 만주족이 건국함.) 한족이 세운 국가는 아니다보니 이보다는 낮게 평가되는 것이 사실이며, 단 청나라 역시도 소위 강건성세(강희제 ~ 건륭제까지의 청나라 전성기 시대) 등에 대해서는 역사적으로 높이 평가하며, 이런 역사들이 모두 현재의 중국이 이루어져오기 위한 일련의 과정이었다 이렇게 접근하는 시각을 가지고 있다고 보는 것이 맞을 것입니다.


  • 안녕하세요. 이현행 인문·예술/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중국은 50여개의 민족으로 구성된 나라입니다. 중화민족의를 강조해 하나된 중국을 지향하지만, 한족이 다수라 한족의 우월의식이 깔려있습니다. 따라서 중국 역사를 평가할 때도 중화우월주의에 따라 북방 이민족의 왕조를 수치스럽게 여기도 깔보는 경향이 강합니다. 따라서 마지막 전통왕조이자 이민족 왕조인 청에 대해서도 그렇습니다. 청조가 무너지는 신해혁명 후 탄생한 아시아 최초의 공화국인 중화민국을 더 높이 평가합니다. 중화민국이 자본주의 국가이고 자본주의 국가의 모순과 발전단계를 넘어 사회주의 국가인 중화인민공화국이 탄생했다고 여기기 때문이죠.


  • 안녕하세요. 박정욱 인문·예술 전문가입니다.

    중국은 indeed 다양한 민족이 공존하는 복합국가이지만, 과거의 역사적인 흐름을 살펴보면 한족 선민주의가 일정 수준에서 존재하였다는 것은 사실입니다. 중국의 역사적인 발전 과정에서 한족 문화와 인민의 역할은 매우 중요했습니다.

    하지만, 현대 중국의 정식 입장은 전통적으로 한족 선민주의보다는 중국 공산당의 이데올로기인 마르크스-레닌주의에 기반을 두고 있습니다. 중국은 중국 공산당이 1949년에 건국 이후부터 공산주의 체제를 구축하고, 이를 바탕으로 사회주의 혁신을 추진해왔습니다.

    그리고 중국의 관점에서 청나라나 명나라와 같은 과거의 왕조들은 자신들의 역사적 문화유산으로 인식하고 있으며, 역사적으로 중국 문화의 발전과 함께 발전해왔다는 인식을 가지고 있습니다. 따라서, 중국의 관점에서는 이전 왕조들을 중국문화의 일부분으로 인식하며, 자신들의 문화와 동일시하는 경향이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