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양육·훈육 이미지
양육·훈육육아
양육·훈육 이미지
양육·훈육육아
냉철한불독44
냉철한불독4424.03.07

아이와 소모적인 말싸움을 하지 않으려면 어떻게 해야 할까요?

아이가 단어를 늘려가고 언어능력이 향상되면서 말대답도 하고, 말을 정말 안듣는데요. 부모의 권위도 아이에게 인식시키면서, 소모적인 말싸움을 하지 않으려면 어떻게 해야 할까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6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송신애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어떻게 보면 말싸움을 하지 않기 위해서는 마인드컨트롤을 하는 것이 필요합니다.

    양육태도 유형 중에서 '민주적 권위형' 양육태도가 친구 같은 아빠(엄마) 유형이라고 할 수 있겠습니다.

    이렇게 하면 흔히 버릇이 나빠지지 않을까 염려할 수도 있습니다.

    친구처럼 가깝게 지내는 민주적 권위형 부모는 아이의 의견을 잘 수렴합니다.

    또 아이가 잘못한 것에 대해서는 엄격하게 타이르는 방식으로 훈육합니다.

    결국 아이는 정서 지능이 높아지고 스스로 선택과 결정을 하는 자율성과 판단력이 높아진다고 합니다.


  • 안녕하세요. 황정순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아이와 소모적인 말싸움을 중단하기 위해서는 이전과는 근본적으로 다르게 접근해야 합니다.

    아이들은 어른과 같은 감정을 느끼지만 표현방법은 미숙합니다.

    아이 스스로 자신의 불편한 감정을 처리하도록 기회를 제공하는 방법이 좋을듯 합니다.

    "우리 아들 화가 많이 났나 보네. 그럼 엄마는 방으로 들어 가야 겠다" 하면서 자리를 피해줍니다.


  • 안녕하세요. 황석제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I massage를 사용해보세요

    서로간감정도안상하고

    어떤의미인지전달하기도쉽고

    아이감정에도도움이될겁니다


  • 안녕하세요. 천지연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아이가 말 대답을 한다면 그 즉시 단호하게 어른에게 말대답 하는 행동은 옳지 않아 라고 말을 해주세요.

    왜 어른에게 말대답을 하면 안되는지 그 이유를 정확하게 설명을 해주시면 좋겠습니다.

    자신이 생각과 감정을 전달하고자 할 때에는 어른의 이야기가 다 끝난 후에 자신의 의사를 전달하는 것임을 인지시켜 주시는 것도 좋을 것 같네요.


  • 안녕하세요. 이은별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아이의 행동에 있어서 위험한것이나 절대 해서는 안되는것은 아이에게

    단호하게 안돼 라고 이야기해주시는것이 좋으며그외에 상황이라면 아이에 상황에 맞게 설명해주시면 좋겠습니다.


  • 안녕하세요. 박주영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아이와 말싸움을 하지 않으려면 아이가 어떤 의도로 말하는지를

    충분한 경청으로 이해하려고 노력하는 태도가 중요합니다.

    참고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