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학문

생물·생명

숩숩숩
숩숩숩

도시에는 왜 곱등이가 귀뚜라미보다 더 많은건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도시에는 왜 곱등이가 귀뚜라미보다 많은지 궁금한데요.

저는 이제까지 도시에서만 살다가 시골의 친구집에 내려왔는데요.

집에 귀뚜라미가 있더군요. 근데 귀뚜라미가 너무 작고 연약하게 생겼어요.

그래서 제가 친구한테 여기 귀뚜라미는 왜이렇게 검은색이고 연약하고 작게 생겼냐니깐

친구가 무슨소리냐고하면서 귀뚜라미는 원래 다 이렇게 생겼다고 하는거에요

그래서 제가 저는 살면서 제가 본 귀뚜라미라고는 갈색+ 연갈색에 들에 줄무늬 있고

훨씬 더 잘 뛰어다니는 애밖에 모른다니까 친구가 곱등이라고 하네요

제가 그럴리 없다면서 사진 서치해봤더니 진짜 제가 지금까지 귀뚜라미로 알고있던게

곱등이었네요 ;; 속고만 살았습니다.

왜 도시에는 귀뚜라미가 아니라 곱등이가 더 많이 서식하는지요 ?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5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김경태 전문가입니다.

    일반적으로 도시는 교통량이 많고 인구밀도가 높아 소음과 빛 오염이 심한 환경일 수 있습니다. 귀뚜라미는 소리를 통해 서로를 찾거나 소통하며 생활하는데, 도시의 소음으로 인해 이들의 음성이 가려지거나 소리를 인지하는 데 어려움을 겪을 수 있습니다. 

    반면, 곱등이는 주로 시야를 이용하여 서로를 인식하고 의사소통하는 특성을 가지고 있습니다. 따라서 도시의 빛 오염이 적은 공간에서 더 적응하기 쉬울 수 있습니다. 또한, 곱등이는 도시의 건물이나 구조물에 서식할 수 있는 환경이나 음식원을 찾기 쉬울 수 있기도 합니다.

  • 도시는 건물 틈새, 하수구, 지하 등 곱등이가 좋아하는 어둡고 습한 환경이 많습니다. 반면, 귀뚜라미는 풀밭이나 흙 속과 같이 좀 더 개방된 공간을 선호하는 경향이 있습니다. 또한 도시에는 곱등이가 먹을 수 있는 음식물 쓰레기나 곤충 등이 풍부하게 존재합니다.

    곱등이는 몸을 납작하게 하고 빠르게 움직여 위험을 피하는 능력이 뛰어난데, 도시의 복잡한 환경은 곱등이가 숨기에 용이한 구조인데다가 도시는 개발로 인해 천적인 새나 다른 곤충들의 서식지가 감소하여 곱등이에게는 더욱 좋은 서식지가 되어주었습니다.

    즉, 도시는 곱등이가 살아가기에 더 유리한 환경이지만, 귀뚜라미는 도시 환경 변화에 적응하지 못한 결과라 할 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홍성택 전문가입니다.

    곱등이는 습기 있는 환경을 선호하며, 도시의 공원, 정원, 화단 등에서 쉽게 발견됩니다. 반면 귀뚜라미는 주로 풀밭이나 자연 환경에서 서식하는 경향이 있습니다. 곱등이는 다양한 유기물과 부패한 식물 등을 먹고 살 수 있어 도시의 쓰레기나 유기물에서 쉽게 먹이를 찾을 수 있습니다. 귀뚜라미는 주로 풀이나 식물의 잎을 먹기 때문에 도시 환경에서는 상대적으로 먹이가 부족할 수 있습니다.

  • 도시에는 곱등이가 귀뚜라미보다 더 많이 서식하는 이유는 곱등이의 생태적 특성과 도시 환경이 더 잘 맞기 때문입니다. 곱등이는 어두운 곳이나 습기가 있는 장소를 좋아하며, 음식물 쓰레기나 습기가 많은 하수구 같은 도시 환경에서 쉽게 먹이를 찾고 번식할 수 있습니다. 반면, 귀뚜라미는 주로 자연 환경에서 서식하며, 도시의 콘크리트 구조물과 같은 인공적인 환경에서는 적응하기 어렵습니다. 따라서 도시에서는 곱등이가 더 흔하게 보이는 것입니다.

  • 안녕하세요. 정준민 전문가입니다.

    도시에는 곱등이가 더많은 이유는 환경적응 때문인데요

    곱등이는 도시의 건물과 같은 구종물에서도 적응을 잘해요

    반면 다른 곤충들이 건물 구조에서 적응을 못하는 만큼 경쟁자가 없어져서 더 잘자라는거죠

    귀뚜라미는 자연에서 더 잘자라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