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문

물고기는 물속에서 수압을 어떻게 견디나요?

아주 깊은 바닷속에는 사람이 들어가지 못할 정도로 수압이 엄청 나잖아요 하지만 물고기들은 자유자재로 움직이는데 물고기들은 물속에서 어떻게 이런 수압을 견디나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3개의 답변이 있어요!
전문가 답변 평가답변의 별점을 선택하여 평가를 해주세요. 전문가들에게 도움이 됩니다.
  • 흔히 수심이 10m씩 내려갈 때마다 일반적으로 1기압씩 압력이 높아지며, 수심 10km의 해구에서는 1천기압의 압력을 받게 되는데요, 이러한 심해에서도 많은 수중 생명체가 서식하고 있습니다. 그 원리는 심해 물고기는 대다수의 경우에 부레를 가지지 않기 때문입니다. 부레란 일종의 공기주머니로 물고기가 물에서 위로 뜨거나 가라앉을 수 있게 해주는데요, 심해에서 부레를 가지고 있을 경우 체내에 공기가 존재하여 수압에 의해 찌그러질 수 있기 때문에 부레를 가지지 않습니다. 따라서 심해 물고기는 부레를 가지지 않으며 체내에 물을 가지고 있어서 외부 해수와 동등한 기압을 조성하기 때문에 찌그러지지 않고 생활할 수 있는 것이며, 높은 압력에서도 세포들이 살 수 있도록 세포 구조 표면에 불포화 지방산을 많이 가지고 있습니다.

    • 답변이 마음에 들었다면?
  • 안녕하세요! 손성민 과학전문가입니다.

    바닷속의 수압은 정말로 엄청납니다. 인간이 들어가기에는 너무나 위험한 환경이지만 물고기들은 그렇지 않습니다. 그 이유는 물고기들이 물속에서 살아가는 데 있어서 매우 특별한 적응력을 가지고 있기 때문입니다.

    우선 물고기들은 물속에서 살아가기 위해 특별한 구조를 가지고 있습니다. 그 중 하나가 물고기의 비늘입니다. 비늘은 물고기의 몸을 보호하는 역할을 합니다. 그리고 비늘은 물고기의 몸을 물속에서 미끄러지지 않게 해줍니다. 이렇게 미끄러지지 않는 몸은 물속에서 물고기가 자유롭게 움직일 수 있도록 도와줍니다.

    그리고 물고기들은 물속에서 수압을 견디기 위해 특별한 기관을 가지고 있습니다. 그 중 하나가 물고기의 비늘 아래에 있는 수압 조절 기관입니다. 이 기관은 물고기의 몸 안에 있는 공간을 조절하여 물속의 수압에 맞게 조절해줍니다. 이렇게 수압을 조절함으로써 물고기는 물속에서 자유롭게 움직일 수 있습니다.

    물고기들은 물속에서 살아가기 위해 특별한 호흡 기관을 가지고 있습니다. 인간이 호흡을 할 때는 공기를 흡입하여 산소를 공급하지만 물고기는 물을 통해 산소를 공급받습니다. 이렇게 물고기는 물속에서 산소를 공급받아 살아갈 수 있기 때문에 물속의 수압에도 잘 적응할 수 있습니다. 이들은 물속의 수압에 잘 적응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물고기들은 물속에서 자유롭게 움직일 수 있고 우리 인간들이 들어가기에는 너무나 위험한 바닷속에서도 안전하게 살아갈 수 있습니다. 감사합니다.

    도움이 되셨다면 아래 추천과 좋아요 부탁드립니다.

  • 안녕하세요. 이충흔 과학전문가입니다.

    물고기는 물속에서 아가미를 통해 산소를 흡수합니다. 아가미 표면에 바닷물이 지나가면 모세혈관을 통해 물 속에 있는 산소를 몸 안으로 흡수합니다. 그리고 물고기가 수압을 견디는 방법은 몸 안에 빈 공간에 공기 대신 물을 채워 넣는 것입니다. 이렇게 하면 몸 밖과 안이 각각 물의 압력에 대해 균형을 이루게 되어 물고기는 수 천 미터 깊은 곳에서도 눌리거나 터지지 않고 살 수 있습니다. 물고기들은 수압에 눌려지거나 터지는 현상을 방지하기 위해 이러한 방식으로 몸을 적응시키고 있습니다. 심해 생물은 몸 내부에 물로 차 있어 내부압력과 외부압력의 평형을 이루며 고압환경을 견뎌낸다고 합니다. 이러한 구조로 인해 물고기들은 깊은 바다에서도 살 수 있습니다.

데스크탑용 아하 앱 설치 권유 팝업 이미지장도연이 추천하는 아하! 앱으로 편리하게 사용해 보세요.
휴대폰으로 QR을 찍으면 간편하게 설치할 수 있어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