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경제동향 이미지
경제동향경제
경제동향 이미지
경제동향경제
성숙한꿩234
성숙한꿩23422.09.25

ESG경영이 요즘 화두 인듯한데 무슨 의미인가요?

요즘 뉴스에서 대부분의 기업체에서 ESG경영이 화두인것 같은데 정확히 무엇을 하는 것인가요? 우리나라의 현상황은 어떻고 앞으로의 과제는 무엇인지 궁금합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5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전중진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ESG경영이란 기업의 비재무적 요소인 환경(Environment), 사회(Social), 지배구조(Governance) 등을

    고려하여 회사를 경영하여야만이 지속적으로 발전이 가능하다는 것을 말합니다.

    우리나라와 같은 경우 현재 ESG 경영에 있어서 재벌가 중심의 지배구조 및 환경과 사회를

    신경쓰지 않는다는 지적을 많이 받았으나

    최근들어서 ESG 경영이 계속 확대되고 있고 점차 나아지고 있는 추세이니 참고하세요.


  • 안녕하세요. 경제&금융 분야, 재무설계 분야, 인문&예술(한국사) 분야 전문가, 지식iN '절대신 등급' 테스티아입니다.

    * 기업이 의사결정을 하는 과정에 있어서 환경 지속가능성과 사회적 가치 창출까지 고려하는 것으로써, 존 엘킹턴이 1994년 정립한 '트리플 바텀 라인'에 근거한 경영의 방법론입니다. 우리나라는 현재 ESG 경영이 극히 초기 단계인 상황이어서 추후 ESG 평가사(DJSI, MSCI, ISS 등)에 대한 대응, ESG 공시 등에 대한 나름의 역량을 키우는 것이 핵심 과제가 될 것으로 볼 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민창성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기업의 책임경영과 사회적 기여 및 환경 보호 등 지속 가능성에 방점을 두고 있습니다.

    ESG는 환경(Environment), 사회(Social), 지배구조(Governance)를 의미하며 과거 기업의 사회적 기여와 환경 경영을 포괄하는 미래지향적인 경영으로 봐야 합니다. 2010년대 중반까지는 CSR이 강조 되었으나 이제는 기업의 지배구조와 지속가능성 등에도 기업에 많은 책임을 묻게 되었습니다.

    ESG 경영이 화두로 떠오른 결정적 계기는 지난 2020년 2월 코로나19 판데믹 직전 세계 최대 자산운영사인 블랙록의 레리 핑크 회장의 주주 서한이 중요한 역할을 했습니다.

    서한에서 래리 핑크는 ESG 경영 적합하지 않은 기업에는 투자도 하지 않고 기존 투자도 회수 하겠다고 선언했습니다. 이것 때문에 블랙록이 투자한 국내 기업들도 환경 공해 유발 회사에 투자하거나 해당 사업 철수 압박을 받았습니다.

    향후 ESG는 기업 경영의 핵심이 되겠으나 일종의 진입장벽이 될 수도 있어 개도국이나 개도국 국적 기업들의 큰 반발이 발생할 수도 있습니다.


  • esg는 Environmental, Social and Governance 약자로 환경, 사회, 지배구조를 뜻하는말로 기업의 이익등 재무적인 성과뿐만 아니라 기업의 장기적인 측면에서 환경이나 사회 그리고 지배구조등을 반영해 평가하는것으로 기업들이 향후 사회적 책임를 강조하고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최민석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Environment` `Social` `Governance`의 머리글자를 딴 단어로 기업 활동에 친환경, 사회적 책임 경영, 지배구조 개선 등 투명 경영을 고려해야 지속 가능한 발전을 할 수 있다는 철학을 담고 있습니다. ESG는 개별 기업을 넘어 자본시장과 한 국가의 성패를 가를 키워드로 부상하고 있습니다. 국내의 경우 ESG 관련 내용은 '지속가능(경영) 보고서'를 통해 기업이 자율적으로 공개하도록 하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