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기타 고민상담 이미지
기타 고민상담고민상담
기타 고민상담 이미지
기타 고민상담고민상담
지적인알파카83
지적인알파카8321.04.26

5살 남자아이 얼굴이 파래지도록 양치질을 안하겠다고 거부하는데 방법이있을까요?

안녕하세요

5살 남아를 키우고있습니다

4세끼지는 세균맨이 몰려왔다 하며 곧잘 했는데 지금은 양치는커녕 세수하는것 조차 무섭다고 하며, 씻기 무서워 외부활동( 동네슈퍼) 정도도 못하겠다고 하네요 .. 4세까지 가정어린이집에서 보육해주시다 5세가되며 유치원에가기시작했는데 그래서그런지... 육아 정말 쉬운게아니네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3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아하(Aha) 심리 상담 지식답변자 심규성 심리상담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

    : 아이가 그간 잘 해오던 일을 강하게 거부하고 있는 상황이군요. 양치는 꼭 해야 하는 일 중에 하나인데 저렇게 공포반응을 나타내는 아이를 보고 계시니 마음이 편치 않으실 것 같습니다.

    우선 아동이 어떤 일을 갑자기 거부하면 그 원인을 알아야 행동 변화를 가져올 수 있습니다. 지금 질문자님께서 파악하신 단서는 아이가 '무섭다'고 말한 것입니다. 유치원에 가기 시작하면서인 것 같다는 것은 짐작이고요. 이렇게 표면적인 단서 + 엄마의 짐작만 가지고 문제를 해결하려고 한다면 아마도 아래와 같은 식으로 원인 탐색을 하게 될 가능성이 높습니다.

    "유치원에서 무슨 일 있어?", "(유치원에서) 누가 너 무섭게 해?" 이렇게 되면 아동은 추궁받는 느낌이 들고, 공포스러운 것들을 다시 상기해야 하며, 양육자가 자신의 마음을 알아주지 않음에 대한 서운함을 느낄 수 있습니다. 이러한 아이를 보는 부모 역시 스트레스가 가중되에 문제 해결이 점점 어려워지기도 합니다.

    따라서 아동과 부모 서로가 도와가며 문제행동의 원인을 파악하고 방법을 모색/합의한 후 실행에 옮겨야 할 것입니다.

    1. 원인 탐색

    아이는 언어 표현이 서툴러서 자기가 이닦고 씻는 것이 왜 싫은지 잘 표현하지 못합니다. 또한 자신이 왜 이 일을 하기 싫어하는지 의식적으로 인지하지 못하고 있는 경우가 대부분입니다. 따라서 감각적, 감정적으로 반응하게 됩니다. 이럴 때에는 부모가 아이와 함께 원인을 탐색해 나가야 합니다.

    "이 닦을 때 아파?"(실제로 상당한 아픔을 느껴서 양치를 거부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또한 4세까지는 어린이집에서 조심조심 다루어 주었는데 유치원에 가며 이젠 좀 컸다는 생각에 이를 닦이는 강도가 세졌거나 칫솔이 좀 더 빴빴해졌거나, 좀 더 매운 치약을 썼거나 했는지 등의 외부적 요인도 꼭 탐색해 보세요), "치약의 맛은 어때?", "비누가 눈에 들어가서 따가운 거야?", "눈감고 씻으면 무서워서 우는 건가?" 하면서 막연하게 공포와 거부감이 들었던 이유를 구체화해 나가는 것입니다.

    2. 방법 모색/실행

    위와 같은 방법으로 원인에 대한 단서를 잡았다면 아이와 방안을 합의해야 합니다. "그동안 이 닦을 때 많이 아팠었구나!", "그럼 엄마가 조금 살살 닦는 건 어떨까?", "세수할 때는 눈에 있는 물은 빨리 닦아 줄까?" 이처럼 다양한 대안을 제시해 주고 아이가 마음에 들어 하는 방법을 실행해 봅니다.

    3. 수정

    혹시 원인 파악이 잘못 되었다든지 방법이 효과적이지 못하다든지 하는 경우에는 실망감을 보이지 말고 "그게 아니었나 보네. 그 때 우리가 생각했던 다른 방법은 어떠려나?" 하면서 자연스럽게 새로운 방향으로 전환해 나가는 것이 좋습니다. 이러한 행동은 아동의 정서와 사고력에도 좋은 영향을 줍니다.

    4. 주의사항

    -조건을 달지 않기(너 이거 하면 뭐 해 줄게), -위협(무서운 표정, 태도, 말투)적으로 대하지 않기, -위기감 조성하지 않기(너 이 안 닦으면 치과가서 위잉~한다. 어떤 친구 이 썩어서 치료할 때 엉엉 우는 거 봤지?")

    위의 내용을 참고하셔서 좋은 변화가 있기를 바랍니다. 아이가 어떤 일을 거부할 때에는 반드시 원인이 있습니다. 그리고 아이는 괜한 투정을 부리는 것이 아니라 실제 그 일로 인해 많이 힘듭니다.

    '훈육하겠다! 행동을 바로잡아 주겠다!'라는 마음보다는 '난 아이의 부모로서 아이가 힘들어하는 것을 공감해 주고 그 일을 해결할 수 있도록 돕겠다'는 마음을 간직해야 할 것 같습니다.

    -제가 유튜브에 올린 '아이의 문제행동 바로잡기' 1~8편을 참고하시면 좀 더 구체적인 내용을 보실 수 있습니다.

    https://www.youtube.com/watch?v=vAQXYapm52c

    *도움이 되셨다면 채택과 공감 부탁드립니다. 아울러 좀 더 구체적인 상담을 원하신다면 아하커넥츠(https://connects.a-ha.io/) '심리상담' 메뉴의 '자녀양육' 카테고리에서 심규성 심리전문가를 찾아 주시기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아하(Aha) 심리 상담 지식답변자 이장우 심리상담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

    여러가지 방법이 있겠지만, 방법론 적인 부분을 이야기 해드리자면, 좋아할만한 캐릭터의 새로운 칫솔 및 새로운 치약 등 종류를 바꿔가며 사주신다면 자신이 좋아서 라도 그 캐릭터를 만나기 위해 양치를 할 것입니다. 또한, 양치가 끝난 후에는 새로운 보상 (자일리톨 껌 또는 캔디 등)을 해주신다면

    아이의 건강한 치아를 유지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 됩니다.


  • 안녕하세요? 아하(Aha) 심리 상담 지식답변자 이은별 심리상담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

    아이가 갑자기 씻는것을 무서워한다면 어떠한 변화가 있을수 있습니다.

    유치원에 가는것도 불안일수있으나 다양한 환경을 열어놓고 생각해보면 좋을듯합니다.

    아이의 현재 모습을 알수있으면 좋을텐데 글로는 어떤 것인지 파악하는데 어려움이 있는듯합니다.

    위와 같이 씻지 않을땐 행동 강화기법도 도움이 될수있습니다.

    씻지 않으면 좋아하는 활동을 금지한다던지

    혹은 씻은 후에는 작은 보상을 준다던지

    하는식의 강화 요법을 사용해도 좋습니다.

    또한 아이에게 어떤게 무서운지 물어보고 감정을 다루어줘도 좋아질수있을겁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