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육아

기타 육아상담

이지로운블루밍618
이지로운블루밍618

아기 열이날때 집에서 부모들이 해줄 수 있는게 무엇이 있을까요?

아기가 어린이집에 다니면서 감기를 너무 자주걸려오는데요. 한번씩 목이부어서 열감기라도 걸리면 너무 힘듭니다ㅠ해열제먹어도 열이 제대로 안잡힐때 이때 수건에 물을 적셔서라도 닦아주는게 맞을까요?집에서 해줄 수 있는게 뭐가 있을까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10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아이가 열이 날 때 부모가 해줄 수 있는 것이 무엇인지가 궁금한 것 같습니다.

    고열이 지속되면 열경련을 할 수 있으니 병원에서 일러준대로 해열제를 시간에 맞춰서 복용해야 합니다.

    미지근한 물로 가제수건을 적셔서 겨드랑이에 끼워주고 이마에 올려줍니다.

    그리고 아이의 손발을 닦아줍니다.

    열이 날 때는 아이의 손발이 차가워지는데 이는 혈액순환이 되지 않아서 그렇다고 합니다.

    혈액 순환이 잘 될 수 있도록 계속해서 주물러주면 어느정도 효과가 있습니다.

    그런데도 열이 떨어지지 않고 고열이 지속된다면 밤 중이라도 응급실에 가서 진료를 보는게 좋을 것 같습니다.

    아이 열을 떨어뜨리는게 최우선입니다.

     

  • 아기 열이 날 때는 정말 안쓰럽고 당황스럽습니다. 이럴 땐 수건에 미지근한 물을 묻혀서 아이의 몸을 닦아주세요. 천천히 열을 식히는 것이 필요합니다. 38도가 넘어가면 해열제를 교차로 먹이고 상태가 나아지지 않으면 병원으로 가야 합니다

  • 우리 아이들의 경우에는 어린이집이나 유치원을 다니게 되면 아픈것을 서로서로 옮기 때문에 계속해서 아픈 경우가 많이 있습니다. 그중에 열이나기 시작하면 칭얼거리는 경우가 많이 있을텐데 열의 경우에는 우리아이에게 아주 위험합니다. 따라서 열이나면 즉시 해열제를 먹여주시고 미지근한 물로 적신 수건으로 몸을 닦아 주시는게 좋겠습니다. 그래도 열이 떨어지지 않으면 응급실을 가주시는게 좋겠습니다.

  • 열이 나면 부모는 너무 힘들 수 밖에 없는 것 같습니다. 옷을 벗겨주고 미지근한 물로 닦아주고 손발 마사지를 해주면 열이 떨어지는데 효과적입니다. 38.5도 이상 열이 나면 해열제를 먹이고, 그래도 열이 떨어지지 않는다면 응급실에 가서 수액을 맞는것이 좋을 꺼 같습니다.

  • 열이38도6분 이상이라며 옷을 벋기시고 해열제를 먹여주세요 열이 잘 떨어지기 않는다면 물수건을 미지근하게 하며 온몸을 닦아주도록 하세요 또한 탈수를 막기위하며 부운목을 가라앉히기 위해 시원한 보리차나 시원한 수박과즙을 먹이시는것도 좋습니다.

  • 아이가 열이 난다면 방안의 온도와 습도를 먼저 확인하시고, 온도와 습도를 적절하게 유지시켜 주세요.

    그리고 얇은 옷을 입히고, 얇은 이불을 덮어주도록 하세요.

    또한 열이 너무 심하다면 아이의 옷을 벗기고 수건에 미지근한 물을 묻힌 후 아이 발등 부터 심장까지 닦아주도록 하세요,

    하지만 열이 내려가지 않고 열이 더 심하게 난다면 즉시 응급실 또는 병원에 가서 치료를 받고 약을 처방받도록 하세요.

  • 열이나면 무조건 열을 낮춰야합니다

    39도이상이면 해열재 쓰셔야하구요

    손수건으로 물묻혀서 얼굴 손등 부위를 닼아주세요

    아이가 축쳐지고 온도가 안떨어지면 응급실에 가셔야합니다

  • 아이가 열이 오를때 미지근한 물수건으로 몸을 닦아주세요.

    목이 부어 있는 경우 따뜻한 물을 자주 마시게 해주세요.

    생강+대추+배를 끓여 마시게 하면 목감기에 너무 좋은데요.

    만약 아이가 생각들어가는 것을 안먹는다면

    배+대추만 넣어 푹 끓여 즙만내서 마시게 해주세요.

  • 아이가 열이나면 수건에 미온수를 적셔서 몸을 닦아주시는것도 좋으며

    통풍이잘되는 옷으로 갈아입혀주시는것이 도움이될것입니다.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열이 안잡히면 진짜 새벽에 부모님들은 미치고 팔짝 뛰게되는데요. 우선적으로 수분 공급을 꾸준히 해주셔야 합니다. 아기가 탈수되지 않도록 충분한 수분을 공급해야 합니다. 모유 수유나 분유 수유를 계속하고, 개월 수가 더 찬 아기라면 물을 조금씩 마실 수 있게 해주어야 합니다.

    또한 아기의 옷을 가볍게 입히고, 방을 시원하게 유지하여 체온을 낮추도록 합니다. 하지만 너무 차갑게 하거나 냉찜질을 직접적으로 적용하는 것은 피해야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