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고용·노동

임금·급여

활발한부엉이136
활발한부엉이136

저의 급여가 대충 얼마인지 궁금해요

1월12일부터 1월26일까지 근무를 했고요 근무시간은 오전6시45분부터 오후15시30분 오후 15시30분부터 새벽12시10분까지 입니다. 점심은 1시간이고요 17일부터21일 다음주 26일 즉 어제 오후 시간에 근무를 했습니다. 야간수당은 0.5붙고요 주휴포함 세후 얼마인지 궁금합니다. 10인이상 기업입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2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차충현노무사입니다.

      1월12일부터 1월26일까지 근무를 했고요 근무시간은 오전6시45분부터 오후15시30분 오후 15시30분부터 새벽12시10분까지 입니다. 점심은 1시간이고요 17일부터21일 다음주 26일 즉 어제 오후 시간에 근무를 했습니다. 야간수당은 0.5붙고요 주휴포함 세후 얼마인지 궁금합니다. 10인이상 기업입니다.

      >> 점심시간을 제외한 휴게시간은 없는 것인지요? 휴게시간에 관한 정보가 없어 임금산정이 어렵습니다. 또한, 시급제/일급제/월급제 여부도 알아야 합니다.

    • 안녕하세요. 이종영노무사입니다.

      1.연장근로 시 통상임금의 50퍼센트가 가산되어야 하며, 연장근로인지 여부에 관계없이 22시부터 06시 사이에 근무가 이루어지는 경우 통상임금의 50퍼센트가 추가로 가산되어야 합니다.

      2.휴일근로 시 8시간까지는 통상임금의 50퍼센트, 8시간 초과분에 대해서는 통상임금의 100퍼센트를 가산합니다.

      3.주휴수당은 1일 통상근로시간에 대한 통상임금으로 산정합니다.

      근로기준법 제56조(연장·야간 및 휴일 근로) ① 사용자는 연장근로(제53조ㆍ제59조 및 제69조 단서에 따라 연장된 시간의 근로를 말한다)에 대하여는 통상임금의 100분의 50 이상을 가산하여 근로자에게 지급하여야 한다.

      ② 제1항에도 불구하고 사용자는 휴일근로에 대하여는 다음 각 호의 기준에 따른 금액 이상을 가산하여 근로자에게 지급하여야 한다.

      1. 8시간 이내의 휴일근로: 통상임금의 100분의 50

      2. 8시간을 초과한 휴일근로: 통상임금의 100분의 100

      ③ 사용자는 야간근로(오후 10시부터 다음 날 오전 6시 사이의 근로를 말한다)에 대하여는 통상임금의 100분의 50 이상을 가산하여 근로자에게 지급하여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