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활
야구경기에서 실점을했는데, 왜 비자책점은 0이되나요?
어제는 류현진선수가 미국 메이저리그 경기에서 2승을 기뢰했는데, 5이닝동안 2실점했는데 비자책점은 실정이없는것으로 기록되던데, 실점해도 비자책점이 되는경우는 어떤경우인가요?
3개의 답변이 있어요!
안녕하세요. 숭늉한사발입니다.
이닝 중에 실책이 동반되는 경우에는 이닝을 재구성 합니다.
타구의 실책일 경우는 그 타구에 의해 타자가 아웃된 것으로 그외 플레이에서의 실책은 주자의 추가 진루가 없던 것으로 간주하고 계산합니다.
재구성시 3아웃 이후의 실점은 모두 비자책점으로 기록됩니다.
현실에서는 그럴일이 없지만 이론상으로는 100실점을 하고도 모두 비자책점이 될 수도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톰아저씨크루즈여행입니다.
예를 들어서 수비수의 실책으로 인해서 주자가 나가고 그 주자가 득점을 하는 경우 비자책으로 처리가 됩니다
투수 잘못이 아니기 때문에 자책점으로 잡지 않는 것입니다
안녕하세요. 오늘도 화이팅입니다.
야수의 실책이나 투수교체로 주자가 나가있는 상황에서 교체되어 실점하는 경우는 비자책으로 기록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