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학문

생물·생명

신기한고양이174
신기한고양이174

니트로소화과정을 거친 질산 이온은 질산염 형태로 식물의 뿌리에 흡수되나요 아님 이온 형태로 흡수되나요?

*제발 빨리요 너무 급해요*

제가 실험을 진행중인데 니트로소화과정 후 식물의 뿌리로 질산 이온이 바로 흡수되는 건지, 아니면 질산염 형태로 흡수되는 건지, 질산 이온 형태로 흡수되어서 식물 내에서 질산염으로 바뀌는 건지, 질산염 형태로 들어가서 식물 내에서 질산 이온으로 바뀌는 건지 잘 모르겠어요… 최대한 자세히 알려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5개의 답변이 있어요!
  • 식물은 주로 질산 이온(NO3-) 형태로 질소를 흡수합니다. 니트로소화 과정을 거친 후, 토양 내에서 질산염(NO3-)으로 존재하는 질소는 식물 뿌리에 의해 질산 이온(NO3-) 형태로 흡수됩니다. 이는 식물 세포막에 있는 특수한 수송 단백질을 통해 이루어집니다. 흡수된 질산 이온은 식물 내에서 바로 사용되거나, 질산 환원효소에 의해 아미노산이나 다른 유기 화합물로 변환됩니다. 따라서 질산염이 그대로 흡수되는 것이 아니라, 이온 형태로 흡수되어 식물 내에서 필요에 따라 다양한 질소 화합물로 변환됩니다. 이 과정은 식물의 질소 대사에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 안녕하세요. 식물이 공기 중 질소를 이용하는 경우 뿌리혹박테리아와 공생하는 콩과류 식물이 대표적이며, 일반 식물은 대기 중 유리질소를 직접 이용할 수는 없습니다. 공기 중 질소의 흡수·이용은 효소작용 등 몇몇 과정을 거쳐서 암모니아로 전환되며, 결국 아미노산을 만들게 됩니다. 또한 식물체가 흡수하는 질소의 형태는 NO3 -와 NH4 +가 있으며, 이 중 밭작물은 NO3 - 형태의 질소를 많이 흡수한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감사합니다.

  • 네, 니트로소화 과정을 거친 질산 이온은 질산염 형태로 식물의 뿌리에 흡수됩니다.

    질산염은 음이온(NO3-)이며, 식물 뿌리는 이온 수송 체계를 통해 이 형태 그대로 흡수합니다. 니트로소화 과정에서 암모니아(NH4+)는 먼저 아질산염(NO2-)으로 변환되고, 이후 질산염(NO3-)으로 산화됩니다. 이 과정을 통해 생성된 질산염은 식물에게 필수적인 영양소로 활용됩니다.

    식물은 흡수된 질산염을 암모니아 형태로 환원한 후 아미노산, 단백질, 핵산 등을 합성하는 데 사용합니다.

    따라서 니트로소화 과정을 통해 만들어진 질산 이온은 이온 형태 그대로 식물 뿌리에 흡수되는 것이죠.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안녕하세요! 손성민 과학전문가입니다.

    니트로소화과정을 거친 질산 이온은 일반적으로 질산염 형태로 식물의 뿌리에 흡수됩니다. 이는 식물이 질산 이온을 더 쉽게 흡수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과정입니다. 따라서 식물이 질산 이온을 질산염 형태로 흡수하는 것이 더 효율적입니다. 하지만 일부 식물은 질산 이온을 질산염 형태로 흡수하지 않고 이온 형태로 흡수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이는 식물의 종류에 따라 다를 수 있으며 일반적으로는 질산염 형태로 흡수되는 것이 더 일반적입니다. 이점 양해 부탁드립니다. 감사합니다.

    도움이 되셨다면 아래 추천과 좋아요 부탁드립니다.

  • 안녕하세요. 김경태 전문가입니다.

    질산 이온은 질산염 형태로 식물의 뿌리에 흡수됩니다. 질산 이온은 질산염의 형태로 존재하며, 이 형태로 식물의 뿌리를 통해 흡수되어 식물의 생장과 영양 공급에 이용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