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화학 이미지
화학학문
화학 이미지
화학학문
매끈한참고래15
매끈한참고래1523.02.14

자동차의 연비가 지속 주행보다 가다서다 반복하는 것이..

더 연비가 나오지 않는다고 하는데 그 이유가 뭘까요?

물론 연비라는 것은 같은 연료로 얼마나 더 멀리 가느냐?로 결정되는데..

가다서다를 반복하면 멀리 못가기에 동일량의 연료로 짧은 주행 거리를 기록하여 연비가 낮다? 이게 맞나요?

아니면..가다서다를 반복하면 기계적으로 연료 자체가 많이 먹히게 되어서 그런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3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정철 과학전문가입니다.

    연료의 경우 출발하고 멈출때 연료 소비가 많이 됩니다.

    정속 주행의 경우 연료가 소비되긴 하나 그 정도가 적을뿐입니다.

    지속적으로 급출발 급제동을 할경우 연료소비가 많아 지게되어 연비가 안좋아지게 됩니다.

    되도록 브레이크 보단 악셀로 거리 조정을 하시고 급제동 보단 서서히 멈추신다면 연비가 올라갈것입니다.


  • 안녕하세요. 과학전문가입니다.

    달릴때는 관성이 있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적은 에너지가 필요하고 정지해 있거나 달리는 물체의 속도를 바꾸기 위해서는 큰 힘이 필요하기 때문입니다.

    질문에 도움이 되셨다면 추천과 좋아요 클릭 부탁드립니다.^^


  • 안녕하세요.

    자동차가 주행중 멈췄을때도 엔진은 계속 작동하게 됩니다 엔진이 작동하는것은 기름이 연소 되고 있음을 의미합니다 기름이 연소되고 있는데 브레이크로 차는 멈춰있으니 연비가 안나오게 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