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이를 먹으면서 실비 보험료가 계속 오른다는 생각이 드네요. 골절 등 실비 청구를 했기 때문에 오르는 걸까요,
실비보험 이대로 놔둬도 될까요?
오래전 가입햇지만 자꾸 오르는 보험료 때문에 부담이 되서 어찌 해야할지 고민이 되네요. ㅠ...
안녕하세요. 이원태 보험전문가입니다.
여전에 가입한 실비의 인상으로 보험료가 부담이 ㅚㄴ다면 전환을 고려해 보는것이 좋습니다 물론 보장은 줄어들 수 있으며 소소한 의료비는 보상금액이 적거나 없을 수는 있ㅇ나 보험료는 다소 저렴할 수 있습니다 선택은 본인이 결정하연 되지만 담당설계사와 상의후 신중하게 검토했으면 합니다
안녕하세요. 김수빈 보험전문가입니다.
실비 보험료가 오르는 이유는 여러 가지가 있어요. 나이가 들면서 의료비 지출이 증가하고 손해율이 높아지기 때문에 보험료가 인상되는 경우가 많죠. 특히 예전 가입한 실비보험은 집단별 손해율에 따라 오르기 때문에 개인의 청구와는 관계가 없어요. 만약 보험료가 부담스럽다면 4세대 실비로 전환하는 것도 고려해볼 만해요. 이 경우 보장은 줄어들 수 있지만 보험료는 저렴해질 수 있으니 신중하게 결정하는 것이 중요해요.
안녕하세요. 권태민 보험전문가입니다.
4세대의 경우 차등제로 개인이 청구하는 내용을 토대로 보험료가 할증 혹은 할인 됩니다.
1~3세대의 경우에는 나이, 직업 등 고객들을 세분화 그룹으로 나누어 다른 사람이 청구하더라도 같은 상품군으로 묶여 있는 경우 전체 보험료가 할증되는 형식입니다.
이전 세대의 실비보험으로 병원을 자주 안가시며, 보험료의 부담을 느끼신다면 4세대로 전환하는것을 추천드립니다.
안녕하세요. 강진영 손해사정사입니다.
4세대 실비 이전, 즉 예전에 가입하신 실손은 보험금을 청구했다고 하여 보험료가 오르지 않습니다.
연령증가, 손해율 증가, 의료비 증가등 여러 가지 요인들이 복합적으로 작용해서 오르는 것입니다.
나이를 먹어감에 따라 의료비 지출이 늘어나게 되어 의료실비가 꼭 필요한데, 보험소비자 입장에서는 오르는 보험료가 만만치 않으니 걱정이 되는 것이 사실입니다. 여러모로 고민이 되는 것은 질문자님뿐만 아니라 대다수의 서민들이 하는 걱정인 것 같습니다.
도움 되셨길 바랍니다.
안녕하세요. 박경태 보험전문가입니다.
4세대 비급여항목이면 골절 등 실비 청구의 액수에 따라서 오를 수 있지만 그런 것이 아니라면 집단별 손해율에 따른 것입니다.
1세대부터 3세대 실비는 개인별 차등제가 아닌 집단별 손해율을 기준으로 할증을 합니다. 연령별 성별 집단에서 손해율을 보고 할증을 하는 것이라서 내가 얼마를 사용했냐에 따른 할인 할증이 적용되지 않습니다. 반면에 4세대 실비는 비급여에 대해서 개인별 차등제를 적용해서 직전 1년간 실비사용이 0원이면 10% 할인을 하고 100만원 미만으로 사용하면 유지를 하고 100만원 이상 150만원 미만이면 100%, 150만원 이상 300만원 미만이면 200% 인상 300만원 이상 부터 300% 인상을 합니다. 개인별 차등제는 가입자간 보험료 부담의 형평성을 해소하기 위한 제도입니다. 그래서 4세대 비급여가 아닌데 오르는 것이라면 집단별 손해율에 의해서 오르는 것이기 때문에 골절등 실비를 사용해서 그렇다라고 할 수는 없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