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동차를 만드는것은 기계공학적으로 어떻게 볼 수 있나요?
안녕하세요. 저희가 일반적으로 타고 다나는 자동차도 공장에서 만들긴 하지만 작게 보면 기계공학적으로 접근해야 할 것 같은데 기계공학적으로 어떻게 만드나요?
안녕하세요. 안다람 전문가입니다.
자동차 제조는 기계공학의 설계,생산,열역학,재료공학,제어 시스템 등을 포함합니다.
이를 통해 성능 최적화와 에너지 효율 향상이 이루어 집니다.
안녕하세요. 서종현 전문가입니다.
자동차를 만드는 과정은 기계공학의 다양한 원리를 적용하는 복합적인 작업입니다.
설계 : 자동차의 구조와 부품을 설계할때 CAD소프트웨어를 사용하여 기계적 강도, 공기역학, 안전성을 고려합니다.
재료 선택 : 경량화와 강도를 고려하여 적절한 재료를 선택합니다. 이는 연비와 안전성에 큰 영향을 미칩니다.
동역학 : 자동차의 운동과 힘의 작용을 분석하여 서스펜션, 브레이크 시스템 등을 설계합니다.
열 관리 : 엔진의 열을 효율적으로 관리하기 위해 열역학 원리를 적용하여 냉각 시스템을 설계합니다.
제어 시스템 : 전자 기계 시스템과 소프트웨어를 통해 자동차의 성능을 최적화합니다.
이러한 기계공학적 접근은 안전하고 효율적인 자동차 제작에 필수적입니다.
자동차는 기계공학적인 접근으로 다양한 기술과 원리를 활용해 제작되는데 먼저 기계 설계를 통해 자동차의 구조와 부품을 최적화하고 기능과 성능을 고려하여 설계 tool로 모델링합니다. 다음으로 재료공학을 통해 적절한 재료를 선택하여 강도와 내구성을 확보합니다. 유체역학 원리를 적용하여 공기 저항을 최소화하고 연료 효율성을 높이며 열역학을 이용해 엔진의 성능을 극대화하고 열 관리 시스템을 설계합니다. 또한 진동 및 소음 제어를 위해 동역학 분석을 수행하여 승차감을 개선합니다.
안녕하세요. 김민선 전문가입니다.
기계공학적으로 접근한다면 자동차 자체에 설계 전면이 기계공학적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기계공학
적으로 자동차에 대한 안정성과 효율성을 따져서 설계가 되어 그것을 가공하여 제작 하는 과정이므로
이 또한 기계공학적일 수 있고, 대량 생산을 위해서는 금형이라는 것을 이용해 똑같은 형상을 찍어내므로
대량 생산이 가능한데, 이런 부분도 기계공학적 접근으로 볼 수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김상규 전문가입니다.
자동차 제작 공정을 전체적으로 보면
1, 디자인
2, 프레스 가공
생산의 첫번째 공정으로
자동차 외형을 만드는 과정
철판을 크레인 통해 절단라인으로 옮긴 후, 본네트,판넬, 도어, 트렁크 등
각 부위에 맞는 적당한 크기로 절단
절단된 철판은 프레스 기계를 통해 여러 모양으로 가공되어, 차체공정으로 이동
3, 차체조립
프레스 공정에서 나온 판넬들을 각종 로봇으로 용접하여
자동차 골격인 차체를 완성시키는 단계
1대 완성에 필요한 용접작업이 약 4천 8백번이 넘고
완성된 차체는 검사용 로봇이 차체의 형상과 뒤틀림, 용접점 등
육안으로 확인 힘든 부분까지 검사하여 , 완벽한 차체만을 도장공정으로 보냄
4, 도장
차체에 전착도장 후 1차고온건조,
상도페인트와 잘 맞도록 중도 도장을 하고 건조 후 광택성이 좋은 상도 도장
고온 건조로 에서 2차 건조통해 차체와 페인트의 밀착성 높임
5, 의장조립
완성된 차체에 드디어 모든 내부 구조 장치들이 결속되는 단계로
배선 및 내장제
글라스
현가장치 (스프링완충기, 스테빌라이저 등 )
조향장치 ( 스티어링 기어, 컬럼 등 )
제동장치 ( 디스크 브레이크, 드럼브레이크 등)
엔진 / 변속기
- 미리 함께 조립된 엔진과 변속기를 차체 엔진룸에 엔진마운팅으로 연결
배기장치 ( 배기아웃관, 머플러 등)
타이어/ 외장부품 ( 타이어, 범퍼, 전조등 제동등 사이드 미러 등 조립)
시트 및 스트어링 휠
6, 검사 및 출고
성능안전검사
주행/ 가속 성능검사
진동, 소음, 제동성 검사
외관검사
이 과정을 거쳐 자동차가 생산되게 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