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기타 의료상담 이미지
기타 의료상담의료상담
기타 의료상담 이미지
기타 의료상담의료상담
헌신하는물총새197
헌신하는물총새19722.05.01

식당에서 음식물로 코로나 걸리는 경우도 있나요? 그릇 수저 그릇 음식등

나이
52
성별
복용중인 약
혈압약
기저질환

만약 반찬이나 밥 국 찌게 등 에도 코로나 균이 들어가나요? 아니면 상대방 이랑 식사중 대화로만 전염이 되는지 가령 혼밥 일경우는 감염이 안되는지 알고 싶네요 그리고 음식에 균이 있을시 몇일까지 서식 하는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27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최동욱 약사입니다.

    그런것보다는 비말이 호흡기로 들어갔는지 여부가 중요합니다. 손에 묻은 비말을 코나 눈 등 점막에 대도 감염 우려가 있으니 손도 깨끗이 씻어주셔야 합니다.


  •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 코로나 카테고리에서 활동중인 전문의입니다.

    음식에 침방울이 튀면서 바이러스가 존재하고 이 음식이 점막에 닿게 되면 감염이 가능은 하겠지만

    그 확률이 매우 낮으므로 걱정하지 않아도 됩니다.

    현재까지 코로나19 바이러스의 특성이 명확히 규명되지 않았으나, 두 가지 연구 논문에 따르면 코로나19 바이러스는 에어로졸 상태로 3시간, 천과 나무에서 1일, 유리에서 2일, 스테인레스와 플라스틱에서 4일, 의료용 마스크 겉면에서 7일까지 생존할 수 있는 것으로 보고되었습니다.

    참조하시어 도움이 되기를 바랍니다.


  • 안녕하세요. 강성주 의사입니다.

    확진자와 함께 같은 음식을 드실경우 타액등으로 인해서도 감염의 가능성은 있습니다.

    또한 식사시 근접한 거리에서 대화를 통한 바이러스 비말의 전파를 통해서도 충분히 감염의 가능성이 있기 때문에 평상시 개인방역에 철저히 하시는 것이 좋겠습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박지호 의사입니다.

    코로나 바이러슨 비말감염이기 때문에 환자분과 비말을 공유할수 있는 상황을 만들지 않는것이 좋겠습니다.

    연구에 따르면 코로나19 바이러스는 유리에서는 최대 4일, 플라스틱과 스테인리스 스틸에서는 최대 7일까지 생존하지만 천에서는 2일, 종이에서는 3시간을 버팁니다. 또한, 에탄올(62-71%)과 과산화수소(0.5%) 등을 섞어 만든 소독제에 노출되면 1분 내로 죽는다는 사실을 확인했습니다.

    코로나 바이러스를 고온 살균하면 사라집니다. 코로나 바이러스는 약 70도 이상의 고온 환경에서는 생존력이 매우 떨어지며 급격하게 사멸합니다.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22.05.03

    안녕하세요. 노동영 의사입니다.

    이론적으로는 가능합니다.

    코로나(COIVD)19 바이러스는 공기 중 비말로 전파가 되고 사물에 묻어있던 비말이 손과 눈 코 입을 통해서 들어가면 전염이 될 수 있습니다. 때문에 마스크와 손씻기가 매우 중요합니다. 코로나19 바이러스는 에어로졸 상태로 3시간, 천과 나무에서 1일, 유리에서 2일, 스테인레스와 플라스틱에서 4일, 의료용 마스크 겉면에서 7일까지 생존할 수 있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최병관 의사입니다.

    오미크론 변이 바이러스의 생존기간에 대해서는 연구된 바는 없습니다. 하지만 이전 다른 코로나 바이러스의 연구결과를 종합해 보면 상온에서 플라스틱이나 쇠붙이 등에서 길게 7일까지 발견되었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하지만 70도 이상 고온에서는 생존하기 어려운 걸로 알려져 있습니다. 그러므로 완성된 음식의 경우에도 감염자의 비말로 오염되어 있어 그것을 섭취한다면 감염될 위험성은 존재합니다.


  • 안녕하세요. 조영지 약사입니다.

    당연히 코로나 균이 반찬이나 밥 국 찌개 등에 들어갈 수 있습니다. 또한 외부 물질에도 코로나 바이러스가 어느 기간 동안 생존할 수 있으므로 감염 가능성이 존재합니다. 다만 음식에 따라 그리고 음식 온도에 따라 균이 생존하는 시간이 다를 수 있어 몇일까지 서식한다고 볼 수는 없습니다.

    아무쪼록 저의 답변이 문제 해결에 작게 나마 도움이 될 수 있기를 기원드립니다. 항상 건강하고, 행복하세요^^


  • 안녕하세요. 이경미 약사입니다.

    코로나감염은 비말로 인해서 감염이 됩니다.

    같이 식사할경우 대화를 한다거나 하면 비말이

    튈수 있습니다.

    재채기나 기침을 해도 비말이 튀면서 전염이 될수 있습니다.

    답변이 도움이 되었으면 합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박준하 약사입니다.

    비말이 전파되어 밥, 국 등에도 바이러스가 감염될 수 있으며,

    특히 마스크를 벗은 채로 식사나 대화를 하는 경우 직접적으로 비말이 튀기 때문에 감염 위험이 높습니다

    음식에 따라 특성이 다르므로 바이러스의 정해진 생존 기간은 없지만,

    공기중에서 최적의 상태일 때 5일 정도 바이러스가 생존했다는 연구결과가 있습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남희성 의사입니다.

    음식에도 코로나 바이러스가 들어갈 수 있습니다. 상대방과의 대화 이외에도 함께 공유한 음식을 통해 전염될 수 있습니다.

    유리나 플라스틱에 최장 7일, 천이나 옷에는 3일정도 생존하는데 음식에서의 생존 기간은 자료를 본 적이 없습니다.


  • 안녕하세요. 양은중 약사입니다.

    음식물을 통하여 코로나에 걸렸다는 경우는 많지 않습니다.

    비말감염을 통하여 걸립니다.

    ○ 현재까지 코로나19 바이러스의 특성이 명확히 규명되지 않았으나, 두 가지 연구 논문에 따르면 코로나19 바이러스는 에어로졸 상태로 3시간, 천과 나무에서 1일, 유리에서 2일, 스테인레스와 플라스틱에서 4일, 의료용 마스크 겉면에서 7일까지 생존할 수 있는 것으로 보고되었습니다.

    ○ 따라서 잠재적인 감염위험요인을 감소시키기 위해 환자가 사용한 공간의 경우 주기적으로 충분히 환기하고 표면 및 물건에 대해서는 철저히 소독해야 합니다.


  • 안녕하세요. 김수재 약사입니다.

    1. 코로나 바이러스의 경우 주로 비말에 존재하며, 비말이 직접 나의 눈코입 점막에 부착되는 경우 감염될 수 있습니다.

    2. 음식물에 직접적으로 비말을 뿌리지 않는 이상, 이것으로 인해 감염될 가능성은 낮습니다.


  • 안녕하세요. 정진석 치과의사입니다.

    음식물에도 코로나 균이 들어갈 수 있습니다. 이는 비말에 의해서 어떠한 물질에도 전파될 수 있습니다. 다만 끓는 음식에는 코로나 균이 사멸될 가능성이 큽니다. 비말이 음식물에 직접적으로 닿아 있다가 식사를 하게 되면 간접적으로 감염이 될 수 있습니다. 물론 질문자님이 말씀하신 상대방과 식사를 할 때가 감염 가능성이 더 크긴 합니다.

    아무쪼록 저의 답변이 문제 해결에 작게 나마 도움이 될 수 있기를 기원드립니다. 항상 건강하고, 행복하세요^^


  • 안녕하세요. 이영민 의사입니다.

    코로나19 바이러스가 전파되는 경로는 비말을 통한 감염입니다. 따라서 대화중 비말이 음식안에 들어가면 전염의 가능성은 충분히 있습니다. 거리를 충분히 두고 식사를 한다면 감염 가능성을 줄일 수 있겠습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이병열 약사입니다.

    확진자가 숨을 쉬거나 기침, 재채기를 하면 코로나 바이러스가 들어있는 비말이 주변으로 확산되어 전염시킬 수 있습니다. 바이러스가 묻은 식기류를 사용한다면 감염될 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김윤기 약사입니다.

    미국식품의약국(FDA)은 홈페이지 내 ‘식품과 안전(Food Safety and the Coronavirus Disease 2019)’ 코너에서

    “코로나19를 일으키는 사스코로나바이러스-2(SARS-CoV-2)는 노로바이러스나 A 형 간염 바이러스와 달리 식품을 매개로 위장관에 침투해 감염을 일으키는 바이러스가 아니며 호흡기(입, 코)에 감염돼 병을 일으키는 바이러스”라며 “식품을 통한 사스코로나바이러스-2 노출은 병의 전염 경로로 알려져 있지 않다”고 밝히고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안상우 치과의사/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바이러스가 물건 표면에서 생존하는 기간은 표면의 종류에 따라서 다릅니다.

    유리에서는 최대 4일, 플라스틱과 스테인리스 스틸에서는 최대 7일까지 생존한다고 합니다.

    천에서는 2일 종이에서는 3시간정도를 버틴다고 합니다.

    미국질병통제예방센터(CDC)는 코로나19 바이러스가 유리, 플라스틱, 스테인리스 등 비다공성 표면에서는 평균 3일(72시간) 안에 99%가 사라져 표면을 통한 바이러스 전파는 거의 일어나지 않는다고 설명하고 있어요.


  • 안녕하세요. 이세라 약사입니다.

    코로나 19 바이러스의 경우 공기 중의 바이러스가 호흡을 통해 비강 내로 들어오면서 감염되는 경우가 일반적입니다. 다만 감염자와 직접 접촉하거나, 감염자가 접촉한 물건을 만질 때도 전염될 수 있습니다.

    평소 개인 위생을 철저히 하시고, 마스크 착용과 함께 주변 물건을 자주 소독하는 것이 감염 예방에 도움이 됩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이민석 약사입니다.

    감염자가 숨을 쉬면서 나온 바이러스가 담긴 작은 입자나 비말이 다른 사람이 들이마시거나 눈, 코, 입에 닿으면 감염될 수 있습니다. 해당 비말을 음식이나 식기를 통해 먹는경우에도 걸릴 수는 있습니다만 가능성은 낮습니다.


  • 대화로 전염되는 경우가 많고

    그릇이나 수저등에 묻은 바이러스를 손으로 집어 손에 바이러스가 묻은 상태로 눈이나 입 코로 가져가는 경우 역시

    감염될 수 있습니다.

    코로나 바이러스가 숙주 외부로 부터 분리되어 생존할 수 있는 기간은 물체마다 다를 수 있습니다.

    대게로 2~3일 이내로 사라지며 짧은 경우는 3-4시간 생존할 수 있고, 길게는 7일 이상 갈 수도 있습니다.

    다만 확진자의 경우 완치 직후에는 항체가 충분하게 존재하여 완치자가 격리해제 직후 재감염 될 가능성은 희박합니다.

    다만 가족등 같은 공간에서 생활하는 가족분들이 있을 수 있기때문에 세탁해서 사용하시는 것을 권유드립니다.


  • 안녕하세요. 김철진 치과의사/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식기나 그릇으로 감염될 가능성이 잇지만 거의 없다고 생각되며 대부분 비말감염이기 때문에 마스크를 벗은 상태에서 대화시 감염될 가능성이 가장높습니다


  • 안녕하세요. 정승우 약사입니다.

    여러 경로를 통해서 코로나는 감염될 수 있습니다.

    식당에서 오염된 손으로 만진 그릇으로도 감염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혼밥이더라도 식당에 식사하는 다른 분들의 기침 등으로 인하여 노출될 가능성도 존재합니다.

    제 답변이 도움이 되셨으면 합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김경태 의사입니다.

    코로나는 비말감염이 주된 감염 경로입니다.

    마스크 착용과 함께 개인 방역수칙을 잘지키시고 개인 위생관리에 신경써 건강관리하시기 바랍니다.

    비말이 음식물에 접촉이 되고 그걸 드신다면 감염될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조성진 의사입니다.현재까지 코로나19 바이러스의 특성이 명확히 규명되지 않았으나, 두 가지 연구 논문에 따르면 코로나19 바이러스는 에어로졸 상태로 3시간, 천과 나무에서 1일, 유리에서 2일, 스테인레스와 플라스틱에서 4일, 의료용 마스크 겉면에서 7일까지 생존할 수 있는 것으로 보고되었습니다.따라서 감염자가 사용한 그릇이나 수저를 통해서도 감염이 될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김명훈 의사입니다.

    코로나 바이러스 감염의 주 경로는 다음과 같습니다.
    1. 바이러스가 들어있는 비말이나 작은 입자를 내뿜는 감염자 가까이에서 공기를 들이마실 때
    2. 바이러스가 들어있는 비말이나 작은 입자가 다른 사람의 눈, 코, 입에 묻을 때. 특히, 기침이나 재채기를 통해 튀는 경우
    3. 바이러스가 묻은 손으로 눈, 코, 입을 만질 때
    음식, 식수, 혈액 등을 통한 감염의 가능성은 매우 희박한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송정은 약사입니다.

    반찬이나 밥 국 찌게 등 에도 코로나 균이 들어갈수 있으며 식기나 수저에 바이러스가 묻어있는 경우 대화를 통해 비말이 튀지 않아도 혼밥시에도 감염이 될 가능성이 있습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송우식 치과의사입니다.

    상대방 이랑 식사중 대화로 전염이 될수 있으며 확진자의 비말이 식기나 음식에 튀는 경우 감염의 가능성이 높아지게 되며 혼밥을 하는 경우에도 가능성을 배제하기 어렵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