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 평균 자산 및 순자산은 얼마정도 있나요?
재테크에 관심 있는 30대 남성입니다.
요즘 주위에 서울아파트 못해도 10억이상 하는것 같던데 전국 기준으로 우리나라 평균 자산 및 순자산을 얼마정도 있을까요?
안녕하세요. 인태성 경제전문가입니다.
질문해주신 우리나라 가구당 평균 자산에 대한 내용입니다.
2023년 3월 기준으로 가구당 평균 자산은 5억 2,727만원으로
순자산은 4억 3,540만원이라고 합니다.
1명 평가2023년 기준 대한민국의 평균 자산은 약 5억 2727만 원, 평균 순자산은 약 4억 3천만 원입니다.
30대의 경우 평균 자산은 약 4억 1,246만 원, 평균 순자산은 약 2억 6,140만 원입니다.
이러한 수치는 전국 기준으로, 서울 아파트 가격 등 지역별 변동성을 고려해야 합니다.
안녕하세요. 신동진 경제전문가입니다.
2023년 가계금융복지조사, 통계청자료입니다.
1. 평균 순자산 약 4억 3천 전년대비 4.5% 감소
2. 처분가능소득 약 5천 전년대비 3.7% 증가
3. 금융자산 23.9%, 실물자산 76.1%
4. 전체 가구의 57.4% 가 3억원 미만 순자산 보유. 10억원 이상 가구 10.3% 이고, 순자산 10억 이상이면 상위 10% 입니다.
안녕하세요. 윤지은 경제전문가입니다.
2023년 기준으로 한국 가구의 평균 자산은 약 5억 3천만 원이며, 이 중 부동산 자산은 약 3억 8천만 원을 차지합니다. 평균 순자산은 자산에서 부채를 제외한 값으로 약 4억 4천만 원으로 보고되며, 중앙값 기준으로 가구의 순자산은 약 2억 4천만 원입니다. 이는 전체 가구를 기준으로 중간에 위치한 가구의 순자산을 나타냅니다. 상위 10%에 해당하는 가구는 순자산이 10억 원 이상이며, 이 범주에 진입하기 위해서는 약 10억 1천만 원의 순자산이 필요합니다. 이러한 수치는 부동산 가격 상승과 밀접한 관련이 있으며, 특히 서울과 수도권의 높은 아파트 가격으로 인해 많은 가구가 자산의 상당 부분을 부동산에 투자하고 있음을 보여줍니다.
안녕하세요. 장수한 경제전문가입니다.
23년 가계금융복지조사에 따르면 올해 3월 말 기준 국내 가구당 평균 자산은 5억 2727만 원으로 집계되었다고 합니다.
감사합니다.
안녕하세요. 정현재 경제전문가입니다.
2023년 기준으로 대한민국 가구의 평균 자산은 5억 2,727만 원으로이고, 평균 순자산은 4억 3,540만 원이라고 합니다.
안녕하세요. 정진우 경제전문가입니다.
최근 한국의 평균 자산은 약 4억 원 정도로 추산됩니다. 순자산, 즉 부채를 제외한 자산은 평균적으로 2억 5천만 원 정도입니다. 이는 부동산과 금융 자산의 분포가 지역별로 차이가 나기 때문에 전체적인 평균을 내는 데는 한계가 있습니다. 특히 서울과 수도권의 자산은 평균보다 높은 편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