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학문

생물·생명

하이hi
하이hi

움직이지않는것이 골다공증 유발하는이유

안녕하세요

식습관 영양 상관없이

움직이지 않는것이 골다공증을 유발하는 이유가 왜일까요.

오히려 안써서 건강한거아닌가요?

예를들어 몇년간 병상에서 누워만잇는다던지요

자세히알려주시면 감사하겟습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5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골다공증은 노인들에게 가장 많은 만성 질환 중 하나인데요, 나이가 들면서 점점 늘어나는데, 최근 조사를 보면 50대 18%, 60대 40%, 70대 이후는 74%로 나타날 정도입니다. 골다공증은 말 그대로 뼈에 구멍이 많은 질병인데요, 뼈가 적절한 강도를 가지려면 충분한 칼슘 및 단백질 조직이 있어야 하는데, 이 중 칼슘이 빠져나가면 자연히 뼈의 강도는 떨어지며, 그 결과 작은 충격에도 뼈가 부러지기도 합니다. 골다공증의 주된 이유는 호르몬 변화, 운동 부족, 영양 결핍 등이 있는데요, 이중에서도 특히 운동이 부족하면 골다공증은 심해집니다. 이는 운동을 하면 우리 몸이 스스로 뼈를 단단하게 하기 위해 칼슘 등을 뼈에 많이 보내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병원에 입원해 있거나, 팔다리 등을 다쳐 일정 기간 움직이지 않으면 젊은 사람이라도 2~3주 만에 골다공증 소견을 보일 수도 있습니다. 또한 골다공증이 노인들에게 많이 생기는 것은 틀림없는 사실이지만, 뼈의 강도를 올리는 작업은 반드시 젊은 나이에 해야 하는데요, 뼈의 강도가 최고에 달하는 나이는 30대로, 이 나이대가 지나면 서서히 뼈 성분이 빠져나가기 때문입니다.

    1명 평가
  • 간단히 말해서, 뼈는 사용하지 않으면 약해지기 때문입니다.

    먼저 움직일 때마다 뼈에 가해지는 자극은 뼈를 더욱 튼튼하게 만들고 골밀도를 높이는 역할을 합니다. 마치 근육이 운동을 통해 강해지는 것과 같은 원리입니다. 또한 움직임은 뼈에서 칼슘이 빠져나가는 것을 막고, 오히려 칼슘이 뼈에 잘 흡수되도록 도와줍니다. 특히 움직임은 뼈를 만드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하는 호르몬 분비를 촉진하고, 뼈를 흡수하는 호르몬의 작용을 억제합니다.

    그러나 움직임이 부족하면 뼈에 가해지는 자극이 줄어들어 골밀도가 감소하고, 뼈가 점점 약해지기 시작합니다.

    움직이지 않으면 뼈에서 칼슘이 빠져나가는 속도가 빨라지고, 뼈가 얇아지고 부서지기 쉬워지며 골밀도가 감소하면 작은 충격에도 쉽게 골절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특히 허리, 고관절 등의 골절은 노인의 삶의 질을 크게 떨어뜨리고 사망률을 높일 수 있습니다.

    따라서 안 써서 건강한 건 아니라는 말입니다. 마치 사용하지 않는 근육이 퇴화하는 것처럼, 뼈 역시 사용하지 않으면 퇴화하여 골다공증에 걸릴 수 있는 것이죠.

    1명 평가
  • 안녕하세요. 박온 전문가입니다.

    움직이지 않으면 골다공증이 생기는 이유는 뼈가 약해지기 때문이에요. 뼈는 우리가 걷거나 뛰는 등의 활동을 할 때 힘을 받아 건강하게 유지되는데, 움직이지 않으면 이런 자극이 없어져서 뼈의 밀도가 줄어듭니다. 

    또 운동을 하지 않으면 뼈를 강화하는 호르몬이 줄어들어 골밀도가 낮아지게 됩니다. 근육도 약해져서 뼈를 지탱해 주는 힘이 줄어들고, 혈액 순환이 나빠져 뼈에 필요한 영양소가 잘 공급되지 않게 됩니다. 

    그래서 건강한 뼈를 유지하려면 적절한 운동이 꼭 필요한겁니다. 

    1명 평가
  • 뼈는 사용할수록 튼튼해지는 특징이 있습니다. 움직이지 않으면 뼈에 가해지는 자극이 줄어들어 뼈의 재생과 유지에 필요한 칼슘 흡수가 감소하고, 뼈 조직이 약해져 골다공증 발생 위험이 높아집니다.

  • 안녕하세요. 홍성택 전문가입니다.

    뼈는 운동을 통해 자극을 받아 강해집니다. 체중을 지탱하는 활동이나 저항 운동은 뼈에 부하를 주어 뼈 밀도를 증가시키는 데 도움을 줍니다. 반면, 움직이지 않으면 이러한 자극이 부족해져 뼈가 약해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