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봉협상 중에 지난 정직원 계약서에 명시된 기간 중 남은 기간에 대해 계약직으로 변환이 가능할까요?
2022년 7월에 중소기업에 신입으로 입사를 했으나 경영지원실 실장이 행정처리가 번거롭다는 이유로 약 3주간 계약 없이 계약직으로 일하다가 8월초에 정직원 계약을 하게 되었습니다. 당초 지원하고 면접시 배정된 업무는 1가지 전문분야 였습니다만, 실제로 수행한 업무는 그보다 더 다양한, 아예 다른 부서의 업무까지 포함했습니다.
2023년 7월 중에 처음 연봉협상을 7%로 체결했고, 지금까지 계속 정직원으로 일을 하고 있습니다.
지난 달부터 상사가 저의 업무 스타일, 업무 성과 부족, 1명의 팀원과의 불화에 대한 소문(제가 그 팀원을 싫어한다는 식), 회사의 경영난, 다른 분야의 직원이 부족한데 신입을 새로 채용할때의 리스크 등을 이유로 삼아 저에게 업무전환을 요구했습니다. 심지어 전환되는 분야는 제가 2년전부터 공부를 멈춘 분야라, 전환하게 된다면 그야말로 밑바닥에서 다시 시작하는 셈이 됩니다. 상사들은 이러한 리스크를 명확하게 인지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업무전환을 요구해왔습니다.
이로 인해 회사의 부실한 운영 체계, 선넘는 경영지원실 실장의 언행, 불명확한 부서 내 업무 체계와 상사의 마이크로매니징, 뒷담화 등으로 이미 작년 상반기에 한차례 화병과 우울증으로 번아웃까지 온 상태에 그냥 너무 질려버렸습니다.
그래서 이번 달에 연봉협상을 다시 할때, 먼저 사측에서 들어줄 가능성이 희박한 인상률부터 제시하고,
거절시 정직원 계약을 비정규직으로 변경해서 기존 근로계약서에 명시헀던 7월 말일까지만 근무하는 방안도 제시하려고 하는데요 (실업급여 목적),
이럴 경우 사측에 어떻게 말을 꺼내야 할까요?
안녕하세요. 유창훈 노무사입니다.
정규직에서 계약직으로 전환하는 것은 서로 합의가 된다면 가능할 것입니다. 사측에 계약직으로 전환을 요구하시기 바랍니다.
안녕하세요. 정동현 노무사입니다.
일단 적어주신대로 임금인상과 계약직 변경 관련하여 요구를 해보시길 바랍니다. 물론 회사에서 질문자님의 요구를 수용할 법상의무는 없습니다. 그리고 적어주신 내용을 보면 괴롭힘이 문제될수도 있으니 회사의 근무상황 등에 대해서는 녹취 등 증거를 남겨두시는게 좋을 것 같습니다.
안녕하세요. 김지수 노무사입니다.
해당 기간을 계약직으로 전환하기 위해서는 계약직 근로계약서를 다시 작성해야 합니다.
답변이 도움되셨다면, 추천, 좋아요 부탁드립니다.
오늘도 즐거운 하루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