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RI상 아무 문제가 없다는데 허리가 이렇게까지 아플 수 있나요?
학창시절에 운동 하느라 허리가 약한 점을 감안하고
성인 된 후, 생리통 때문에 허리 아픈 것 말고는 딱히 아프다고 느끼지 않았습니다.
그러다
4/1일 교통사고가 났었고, 그 날 이후로 현재까지도 쭉 아파서 중간에 타 정형외과에 내원하여 허리가 1자로 펴지고 있어서 아플 거라는 진단을 받았습니다.
타 병원에서 처방 받은 약 먹으며 버티다가
최근 27일 일요일 저녁 먹으려고 의자에 앉았는데 허리부터 오른쪽 허벅지까지 근육이 쥐가 난듯이 쥐어짜이는듯한(?) 뭔가 뼈가 잘못 맞춰진 느낌(?) 처럼 처음 느껴보는 통증에 쓰러지듯 눕다가 그 이후로 혼자 일어서지도 몸을 뒤집기 조차도 못해서 119에 실려 온 후 X-ray 사진 촬영을 진행하였고, 1번에서 5번 척추들 간격이 좁은 것 말고는 큰 문제는 없어보인다며
신경외과 MRI 검사까지 진행했는데 정상이라고 합니다.
그런데도 불구하고 허리가 경직되어 있는 느낌과, 앉아있으면 허리가 찌릿찌릿 아파서 다리도 같이 움찔거리며, 재채기라도 한 번 하면 허리가 둥! 하고 울리면서 너무 아픈데 정형외과로 다시 진단을 받아봐야 될까요?
MRI와 같은 정밀 검사를 받아보았고 허리 쪽에 특별한 이상이 없다고 판정이 되었다면 일단은 다행이며 큰 문제가 있지는 않다는 것을 의미하겠습니다. 그렇지만 교통사고 등 요인에 의해서 급성기 염좌가 발생하였을 경우에는 검사에서는 이상이 없더라도 심한 통증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급성 염좌에 대해서는 휴식을 해주고 스스로 사서 회복이 될 수 있도록 관리를 해주며 경과를 지켜보는 것이 최선입니다. 일단은 진통제 투약을 하고 쉬어주면서 경과를 보시는 것이 좋겠다고 사료되나 계속 진료를 보고 상태를 재평가하시길 희망하신다면 정형외과에 다시 가보는 것도 괜찮은 생각일 수 있겠습니다.
1명 평가안녕하세요. 아하의 의료상담 전문의 의사 김민성입니다. 자세히 설명해주신 내용을 잘 읽어보았습니다. 허리에 발생한 문제로 인해 많이 걱정되셨을 텐데요.
MRI 검사에서 큰 이상이 발견되지 않았다고 해도, 교통사고 후 나타나는 통증의 원인은 다양한 이유로 설명될 수 있습니다. 특히 사고의 충격으로 인해 척추나 근육, 인대 등의 정렬이 미세하게 어긋나 있거나, 연부조직에 문제가 있을 경우 통증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허리가 일자형으로 펴졌다는 진단은 척추가 원래의 자연스러운 곡선을 잃고 뻣뻣하게 변했음을 의미할 수 있는데, 이는 만성적인 자세 문제나 외상으로 인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또한, 근육이 경직되거나 척추 주변의 신경이 자극받아 통증이 생길 수 있습니다. 허리의 경직감과 방사되는 통증은 이런 상황에서 흔히 나타날 수 있으며, 특히 재채기나 특정 자세에서 통증이 심하다면 신경 압박 가능성도 배제하지 않을 수 없습니다. 허벅지까지 방사되는 통증은 신경이 관여될 수 있음을 시사하기에 좀 더 면밀한 검토가 필요합니다.
정형외과나 신경외과에서 추가적인 검사를 통해 허리의 구조적 문제를 더 면밀히 살펴보는 것이 좋겠습니다. 경우에 따라서는 물리치료나 운동치료 등이 도움이 될 수 있으며, 필요한 경우 약물치료나 기타 보조적인 치료 방법도 고려해볼 수 있습니다. 본인의 증상이 지속되거나 악화되는 것 같다면, 추가적인 진료를 받아보시는 것이 바람직합니다.
저의 답변이 궁금증 해결에 도움이 되셨길 바랍니다.
1명 평가안녕하세요. 김수비 의사입니다.
MRI에서 문제가 없다고 해도 허리 통증이 계속되고 있는 상황에서는 여전히 여러 가지 원인이 있을 수 있습니다. 우선, MRI는 연조직에 비해 뼈와 관련된 구조적 문제를 잘 확인할 수 있지만, 근육, 인대, 신경 문제 등은 명확하게 드러나지 않을 수 있죠
특히 교통사고 후 허리가 경직되고 쥐가 나는 듯한 통증을 겪고 있다면, 척추나 주변 근육에 과도한 긴장이나 염증이 있을 수 있습니다.
또한, X-ray나 MRI 상에서 문제가 없다고 해도, 허리의 신경이나 근육에 미세한 손상이나 긴장이 있을 수 있기 때문에, 통증이 지속된다면 정형외과에서 추가적인 진단을 받는 것도 좋습니다.
물리치료나 약물 치료, 혹은 더 세밀한 검사가 필요할 수 있습니다. 또한, 신경이 눌리거나 염증이 생겼을 가능성도 있으니 신경과 진료 및 상담도 고려해보세요
1명 평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