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정형외과 이미지
정형외과의료상담
정형외과 이미지
정형외과의료상담
잘웃는두견이121
잘웃는두견이12122.07.27

거북목 치료 얼마나 걸리나요?

나이
성별
복용중인 약
기저질환

사무직이다보니 거북목이 되어가네요.

직장을 다니면서 치료를 해야할거 같은데 치료기간은 얼마나 잡아야할까요?

혹시 입원을 해야하거나 하지는 않겠죠?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5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최병관 의사입니다.

    경추 전만이 사라지게 되면 추간판이 뒤로 밀리면서 신경을 압박하게 됩니다. 실제로 최근 스마트폰으로 인해 경추 디스크 환자가 지속적으로 늘고 있고 많은 분들이 목 통증 및 결림을 호소하고 있습니다.

    추나나 도수치료등도 효과가 있을 수 있고 경우에 따라 견인치료도 병행할 수 있으나 이를 위해서는 신경외과, 재활의학과 혹은 정형외과 의원을 방문하시어 정확한 진료 및 처방을 받으시는 것이 필요하며 수차례 치료로 질환 자체를 호전시키기는 어려울 수 있습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한 근본적인 예방은 목 자세를 최대한 바르게 하여 척추 뼈를 올바르게 정렬하고 추간판 탈출증이 생기지 않게 줄이는 것입니다. 이를 위해서 맥켄지 운동이라고 하는 운동법을 추천합니다. 이는 허리를 곧추세우고 양팔을 만세 자세로 올린 다음 어깨 높이로 팔꿈치를 떨어뜨린 후 등을 당기면서 목을 뒤로 구부리는 신전운동을 해주는 것으로 자주 해주시면 상당한 효과가 있습니다. 또 증상 완화를 위해서는 약물이나 침치료 등을 이용할 수 있지만 일시적인 효과만 있어 항상 건강한 목 자세를 유지하는 것이 좋겠습니다.


  • 안녕하세요.

    거북목은 치료 기간이 정해져 있다기 보다는 지속적으로 관리가 필요합니다.

    한번 거북목으로 고정된 경우, 물리 치료나 도수 치료, 자세 치료 등을 하여도

    이전으로 회복하기 보다는 증상이 악화되는 것을 막는 것 이상으로 효과가 없을

    수 있으며 일자목까지 회복한다고 해도 정상적인 목 구조로 회복하는 데에는

    상당한 시간이 걸리거나 혹은 완전히 회복하기 어려운 경우가 많아 지속적으로

    관리가 필요할 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이호진 의사입니다.

    거북목이 나타나는 이유는 다음과 같습니다.

    스마트폰, 태블릿PC 등을 장시간 내려다 보는 생활습관, 목과 머리를 앞으로

    내미는 구부정한 자세, 높은 베개를 이용하는 수면습관, 의자에 앉을 때 눕는 듯한 자세, 교통사고, 낙상 등의 강한 외부충격, 누워서 TV나 책을 보는 습관 등이 있습니다.

    일단 거북목이 오면 다음의 현상들이 나타나게 됩니다.

    목과 등 근육에 영향을 주며 목 뒷부분의 인대와 근육을 늘어나게 하여 어깨 통증과 등과 허리의 통증, 두통 등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증상이 장기간 지속될 경우 척추 디스크와 같은 근골격계 질환이 생길 수 있습니다.

    치료법에는 물리치료, 약물치료, 도수치료, 주사치료 등 비수술 치료가 시행

    됩니다.

    예방을 위해서는 일상생활중 바른 자세를 유지하고 스트레칭으로 근육을 풀어줘야 합니다. 스트레칭은 목, 어깨 위주로 하고 짧은 시간이라도 주기적으로 반복하는게 좋습니다.


  • 안녕하세요. 남희성 의사입니다.

    거북목이나 일자목의 경우에 입원치료를 해야할 문제는 아닙니다.

    단기간에 해결되는 문제는 아니고 꾸준한 자세유지와 운동이 필요합니다.

    https://www.youtube.com/watch?v=-nOgOs4r6Ys&t=210s 거북목에 대한 아주대학교 병원 윤승현 교수님 영상입니다.


  • 거북목과 같은 문제는 장기적으로 발생한 만큼 다시 교정하기 위해서는 많은 시간이 소요됩니다. 사람마다 상태, 치료 반응 등 요인들이 천차만별이기 때문에 구체적으로 치료 기간이 어느 정도일 것이다 예측할 수 없습니다. 최소 수개월은 잡는 것이 바람직합니다.

    입원치료는 필요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