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양육·훈육 이미지
양육·훈육육아
양육·훈육 이미지
양육·훈육육아
로맨틱한발발이142
로맨틱한발발이14223.11.24

사춘기를 겪고 있는 아이와 대화할 때 어떤 접근 방식이 좋을까요?

사춘기를 겪고 있는 아이와 소통하기 위해 어떤 접근 방식이 효과적인지 알려주세요.

아이의 감정을 이해하고 수용하는 방법은 무엇인가요?

또, 어려운 주제에 대해 대화하는 방법은 어떤 것이 좋을까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13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이중원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사춘기 아이와 대화시에는 아이를 하나의 인격체로 대접해 주는 것이 중요합니다. 부모는 말을 잘 듣던 어린 시절의 교육방법을 탈피하고 아이의 의견을 존중해 주며 아이의 입장을 배려해 주어야 합니다. 부모가 정하는 것이 아니라 아이와 함께 결정해야 하며 결국 아이가 겪어나가야 하는 일이므로 아이의 선택을 존중해 주고 선택에 대한 책임도 본인이 질 수 있도록 해 주시면 됩니다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23.11.24

    안녕하세요. 이승원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사춘기의 정도에 따라서 다르겠지만 사춘기를 지나는 아이와 대화를 시도하기는 쉽지 않은 것 같습니다.

    사춘기가 온 아이는 제2차 성징을 경험하게 되면서 점차 성인의 몸으로 변해 갑니다.

    생리적으로는 성적 충동이 커지고 심리적으로는 성인처럼 행동해야 된다는 새로운 압박감이 생깁니다.

    더구나 우리나라 청소년들은 학업에 대한 스트레스까지 겹치게 됩니다.

    따라서 이 시기를 지나는 아이를

    겨울잠을 자러 들어간 곰이라고 생각하고 다시 새봄이 되어 동굴 밖으로 나올 때까지 기다려주면 어떨까 싶습니다.

    컨디션이 괜찮을 때는 '힘들지? 잘하고 있으니까 너무 걱정하지마' 등의 응원을 보내주면 좋을 것 같습니다.

    뭔가를 해주려고 하면 할수록 갈등과 감정의 골이 깊어질 수도 있기 때문입니다.


  • 안녕하세요. 천지연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사춘기와 아이와 소통을 하는 방법은 대화 밖에 없습니다.

    대화를 시작했다면 아이의 이야기를 잘 경청해 주세요. 그리고 아이의 이야기를 들으면서 아이의 시선으로 바라보고 아이의 마음을 이해해보도록 하세요. 그리고 아이의 이야기가 끝났다면 아이의 감정을 충분히 공감한 후에 부모님의 생각을 전달해 보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 안녕하세요. 오수진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아이가 좋아하는 관심사가 있다면 그 관심사를 공감해주시며

    접근을 해주시는 것도 도움이 될 것입니다.

    사춘기시기에는 친구처럼 대화를 해주시는 것이 좋은데요

    친구처럼 대화하는 것은 공감을 많이 해주시는 것입니다. 친구는 조언을 해주는 것보다 공감을 많이 해주고 같은 편이 되어주죠 이렇듯 조언과 명령이 아닌 있는 그대로 아이의 모습을 받아들여주시고 공감해주신다면

    도움이 될 것입니다.


  • 안녕하세요. 이승호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사춘기 아이와 대화할 때는 아이의 감정에 너무 휩쓸리지 않고 감정 표현에 대한 공감과 이해를 위해 노력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아이의 의견을 존중하고 신뢰를 만들어 주세요. 그리고 언제든지 이야기할 수 있는 환경을 만들면 도움이 됩니다.


  • 안녕하세요. 이은별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나전달법을 사용해서 서로 대화를 해보시는것도 좋으며

    사춘기를 겪는다면 편지를 적거나 교환일기를 적으면서 자신의 감정이나 문제 혹은 중요한 이야기를 나눠볼 스타트를 하시면 좋겠습니다.


  • 안녕하세요. 박주영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아이의 말 한마디 한마디에 귀를 기울이고 한마디에 들어간 메시지를 알아내려고 애를 쓰는 것이 중요합니다.

    아이들은 말 한마디를 내뱉기 전에 복잡한 내적 과정을 거칩니다.

    마음을 열고 소통하려면 먼저 지금까지의 대화 패턴을 분석해 보시고 문제를 찾아보세요.

    그 문제에서 출발하시면 됩니다. 답은 아이에게 있다는 사실을 명심하세요. 아이와 대화를 많이 시도하시는

    것이 중요합니다. 아이가 대화를 거부한다면 카톡이나 문자, 편지 등으로로 시도해보세요.


  • 안녕하세요. 황석제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아이의감정수용법은

    아이의말에공감해주고이야기를잘들어주세요

    어려운주제는미리언질을준뒤 아이가준비가되고말할때까지기다려주세요



  • 안녕하세요. 양미란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아이가 사춘기이기 때문에 힘든것을 이해한다고 하시고

    어느정도 이해를 해주셔야 하니 참고하세요


  • 안녕하세요. 전중진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아이가 좋아하는 것부터 대화를 하셔서

    아이의 부모와의 대화의 거부감을

    없애주시는 것이 필요합니다.



  • 안녕하세요. 전지훈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아이의 말을 평소에 귀 담아 듣는 게 중요합니다

    아이들은 갑자기 변하는 것이 아니라 서서히 가정 환경에 의해서 변화됩니다

    늘 가족의 온화한 분위기로 아이들의 대화를 이끌어야 합니다


  • 안녕하세요. 좌승협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농담말처럼, 사춘기 때는 아이와 마주치는 시간을 줄여야 한다고도 합니다. 어떤 말을 해도 잔소리로 들리고 부모 입장에서는 지금이라도 이야기 안하면 평생 말 안할 것 같은 두려움도 있습니다.

    아이에게 무언가를 지적하기 보다는 이해하고 그래 지금은 사춘기야 선을 크게 넘지 않으면 지켜봐줘야겠다 엄마 아빠가 널 믿는다라는 생각만 들게 해야겠다 라는 마인드가 중요해요


  • 안녕하세요. 심은채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사춘기를 겪고 있다면, 아이들은 대부분 부모와 말을 하지 않으려고 합니다

    아이의 일상 생활 활동에 관심을 갖고 함께 공감할 수 있는 대화를 이어나가십시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