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정형외과 이미지
정형외과의료상담
정형외과 이미지
정형외과의료상담
탁월한달팽이252
탁월한달팽이25222.06.03

발가락 불유합 후 재골절일까요?

나이
29
성별
여성
복용중인 약
기저질환
없음

6개월전 4번째 발가락 골절 후 4주간 깁스를 하였습니다.

진료를 보았던 병원에서 깁스를 풀 때 쯤 뼈가 붙고는 있으나 불유합 상태가 될 수도 있지만 통증이 없다면그 상태로도 일상샹활이 가능할거라고 하시더군요.

그러고 약 2개월 전 다시 침대 모서리를 발로 차며 네번째와 세번째 발가락이 부어올랐었어요. 근데 처음 부러졌을 때와는 다르게 지속적인 통증은 없고 멍도 금방 빠지더라구요.. 그래서 병원을 방문을 안했었는데 어제 운동을 하다가 발을 접지르며 하필 또 발가락이 접질러져서 눈물을 머금고 응급실에 x_ray 찍으러갔더니 4번째 발가락이 조금 이상항것 같다며 CT를 권유하시더군요..

현재 부러졋던 자리를 옆으로 누르면 심한통증은 아니지만 통증이 있고 오랫동안 걷거나 계단을 많이 오르내리는 날이면 발가락 끝도 묵직하고 찌릿지릿하며 통증이 간헐적이지만 꾸준하게 나타납니다.

CT촬영을 해보는것이 좋을까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8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 코로나 카테고리에서 활동중인 전문의입니다.

    재골절이 발생했는지는 CT 촬영을 해보아야 확실히 알 수 있겠습니다.

    참조하시어 도움이 되기를 바랍니다.


  • 안녕하세요. 최병관 의사입니다.

    엑스레이 상에서 골절 및 유합을 관찰하는 것은 한계가 있으므로 현재 새로운 증상이 생겼다면 CT 촬영을 통해 해당 부위 골절 및 불유합을 자세히 관찰하는 것이 좋겠습니다.


  • 안녕하세요.

    발가락 골절 후 이미 6개월이 지난 시점이기 때문에 불유합이 왔다고 해도 이미 붙었을

    것으로 보이며 어긋나서 신경을 누르거나 부종이 사라지지 않는 경우가 아니라면 다시 재수술을

    진행하지는 않을 것으로 보입니다. CT를 찍는 것은 겉으로 보기에 불유합의 가능성이 있어 찍어

    보자고 할 것으로 보이지만 다시 골절이 온 경우가 아니라면 CT를 찍은 후에 수술이나 다른 치료

    보다는 경과를 지켜볼 것으로 생각됩니다.


  • 유의한 정도의 충격이 발생하였기 때문에 CT 검사를 권유 받으셨다면 아무래도 촬영을 해보는 것이 상태를 보다 더 정밀하게 파악하고 재골절 우뮤를 확실하게 감별하는 방법입니다. 되도록이면 검사를 받아보시는 것이 어떨까 싶습니다.


  • 안녕하세요. 김경태 의사입니다.

    재골절이 발생했을 가능성이 높긴하겠네요.

    엑스레이로는 판단하기 어려워서 ct를 권유하신것같습니다.

    정확한 결과를 확인하시려면 ct를 찍는게 좋겠네요.


  • 안녕하세요. 김창윤 소아과의사입니다.

    정확한 상태를 알지 못하기에 무엇을 하라 마라 말하긴 어렵습니다.

    다만, 담당 의사분이 그렇게 하자고 하였다면 하는 것이 가장 좋을 것으로 생각됩니다.

    도움이 되셨으면 좋겠습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노용성 의사입니다.

    네 하시기 바랍니다.

    한번 부러졌던 곳은 다시 부러지기도 쉬운데

    앞으로 조심하시면 좋겠네요.

    별거 아니길 바랍니다.

    * 아하 답변은 통상적인 답변만 드릴 수 있으며 병원진료를 대체할 수 없습니다. 궁금한 사항있으면 댓글 남겨주십시오.


  • 안녕하세요. 이서원 의사입니다.

    꼭 문제가 생겼다기 보다 발가락에 간헐적으로 충격이 가해져서 통증이 발생했을 가능성이 있습니다.

    경과관찰하시고 증상이 심해지거나 너무 오래경과되면 가까운 의원에서 진료받아보시길 권해드립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