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
부모님 돌아가시고 시골 논을 동생이 상속받은 후 형이 증여? 매매 관련 질문?
부모님 돌아가시고 시골 논을 자식인 동생이 상속받은 후 형인 제가 다시 가져가려면 매매.? 증여.?
어떤게 세금이 덜 나오나요..?
제가 농민자격이 없는데 논을 제가 등기이전 할 수 있나요..?
농민자격? 농업경영체 등록은 어떻게 해야되나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1개의 답변이 있어요!
전문가 답변 평가답변의 별점을 선택하여 평가를 해주세요. 전문가들에게 도움이 됩니다.
안녕하세요. 이상엽 공인중개사입니다.
시골 논을 상속받거나 증여받는 경우, 세금과 등기 절차를 고려해야 합니다. 아래는 관련 질문에 대한 답변입니다:
상속 vs. 증여:
상속: 부모님이 돌아가신 후 자식이 부동산을 상속받는 경우입니다.
증여: 부모님이 살아계실 때 자식에게 부동산을 증여하는 경우입니다.
논 증여 및 셀프 등기 순서:
논 증여를 받은 후 셀프 등기를 하려면 다음 절차를 따릅니다:
증여계약서 작성: 증여인(부모)과 수증인(자식)이 작성한 증여계약서를 준비합니다.
증여계약서 검인 신청: 지역 등기소에서 증여계약서를 검인하고 도장을 받습니다.
증여세 신고: 증여로 인한 취득세를 신고합니다. 증여세는 과세표준에 따라 계산됩니다.
등기소 업무: 소유권이전등기신청서, 취득세영수필확인서, 대법원등기신청수수료 등을 제출하여 등기를 진행합니다.
농민자격 및 농업경영체 등록:
농민자격이 없는 경우에도 농지를 등기할 수 있습니다.
농업경영체 등록 자격:
농지 면적 1,000㎡ 이상 또는 연간 농산물 판매액 120만원 이상
연간 90일 이상 농업에 종사하는 농업인
증여와 상속에 따른 세금과 등기 절차를 정확히 따르시면 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