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예금·적금 이미지
예금·적금경제
예금·적금 이미지
예금·적금경제
느긋한돌고래111
느긋한돌고래11124.01.09

일본은 지난 30년 왜 경제성장이 멈췄었나요?

흔히 잃어버린 30년이라는 얘기를 많이 들었습니다.

그런데 일본은 지난 30년동안 부동산 시장에 있어서 왜 그런 침체를 겪게 되었나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7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전중진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일본과 같은 경우에는 플라자합의를 통하여

    경기가 어려워지자 중앙은행이 돈을 푸는 정책을 펼쳤으나

    주식과 부동산에만 엄청난

    버블이 쌓이고 이것이 터지면서 경제가 회복되지 않는 등

    멈췄던 것입니다.


  • 안녕하세요. 신동진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1989년 말 주가가 최고점을 찍은 것을 신호로 1990년 새해가 시작하자마자 대장성(現 재무성. 한국으로 치면 기획재정부)에서 주택 담보 대출에 대한 출자총액제한제도라는 강수를 둠으로서 주가와 부동산이 폭락하기 시작하면서 헬게이트가 열렸다. 이후 10년간 주가 지수(닛케이 지수)는 반토막나고 부동산 가격은 기존대비 평균 33%(구매금액의 67%를 잃음)에서 심하면 10%(구매금액의 90%를 잃음)까지 추락했다. 이 과정에서 담보를 팔아도 대출금을 못 갚는 사례가 속출하면서 다량의 부실 채권(상환 불가)이 발생하였고 이를 견디지 못해 은행이 도산하는 과정이 반복되었다. 당시 대출의 약 90%가 휴지조각이 되어 버렸으니 그 타격은 알 만할 것이다.


  • 안녕하세요. 김옥연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일본이 지난 30년간 잃어버린 경제성장이 발생했던 것은 미국의 주도로 이루어졌던 플라자합의 때문인데, 이 플라자합의로 인해서 일본의 저금리 정책 기조가 만들어지게 되었으며 저금리 기조로 인해서 부동산 버블 상황이 만들어지게 되면서 이후에 잃어버린 경제 30년이 만들어지게 되었어요


  • 안녕하세요. 최현빈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 일본은 부동산 버블이 터지면서 침체의 길로 접어들었고 30년이 지날 동안 연봉이 안올라도

      이상하게 생각하지 않습니다.

    • 세계적인 기업이 많았던 일본은 현재는 세계적인 기업으로 나오는 곳이 없습니다.

    • 부동산 거품이 꺼지면서 발생한 손실은 아직도 그 후유증을 남겨놓았고, 지방은 공실이 넘쳐나는

      사회가 되어가고 있습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안상우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일본의 금융이 침체된 원인은 여러 가지 원인이 있을 수 있습니다.

    우선 일본 부동산과 주식 시장에서 큰 폭의 금융 가격 상승에 있었지만 실물 경제가 뒷받침해 주지 못하는 바람에 버울이 붕괴하면서 국가의 재정 상태가 매우 많이 악화되었습니다.

    이런 원인으로 일본은 장기간에 걸쳐서 물가락이 지속되었으며이 디플레이션을 통해서 소비 억제와 투자가 줄어들게 되었고 이런 악순환은 일본이 오랜기간 장기침체에 빠지게 만들었습니다.


  • 안녕하세요. 이철민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일본은 지난 30년 동안 경제 성장이 멈췄고, 부동산 시장에서도 침체를 겪었습니다. 일본은 1990년대 초반 부동산 거품이 붕괴하면서 경제 위기를 겪었습니다. 이로 인해 부동산 가격이 급격히 하락했고, 많은 사람들이 재산을 잃었습니다. 제조업은 중국과 동남아시아의 경쟁에 밀려 점차 쇠퇴했습니다. 저출산과 고령화로 인해 노동력 부족이 심화되고 있었습니다. 일본 정부는 부채가 너무 많아서 경제를 활성화하기 위한 정책을 펴기 어려웠습니다.


  • 안녕하세요. 홍성택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가장 큰 요인은 인구 고령화와 출산율 저하로 인한 인구 감소입니다. 이로 인해 노동력 부족과 소비 감소가 발생하였으며, 이는 일본 경제의 모든 분야의 성장을 저해하는 요인이 되었습니다.

    부동산의 경우 지방은 쇠퇴하고 도시지역은 계속 발전하며 가격 또한 엄청나게 올랐습니다.